X

文정부서 문 닫을 뻔한 전경련…새정부서 위상 회복하나

김상윤 기자I 2022.03.14 16:40:26

국정농단에 휘말려 4대그룹 탈퇴…조직 축소
시장 자율기능 중시한 새정부 정책기조 기대
새정부에 정책 제안 나서…해외 네트워크 강화

지난해 10월 1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전국경제인연합회 창립 60주년 사진전 제막식에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허창수 전경련 회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문재인 정부에서 위상이 추락했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새 정부 들어 부활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반영할 수 있는 정책제안을 적극 만들고, 명칭 변경도 추진하는 등 민간 중심의 경제 주축으로 자리 잡기 위한 발 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출신인 권태신 상근부회장이 새 정부 인사들과 물밑 접촉하며 대기업 정책을 제안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새 정부와 전경련 간 접점을 만들고 있다는 얘기다. 이를 위해 전경련 산하 싱크탱크인 한국경제연구원과 함께 인수위에 반영될 수 있는 정책 제안을 만드는 한편, 새 정부와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 간, 또 일본 기시다 내각 간 등과의 네트워크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대기업의 목소리를 대변했던 전경련은 박근혜 정부 시절 국정농단 사태에 휘말리면서 조직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었다. 삼성,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이 탈퇴했고, 수입은 반 토막이 됐다. 임직원 수는 40% 넘게 줄었다.

재벌개혁에 나섰던 문재인 정부는 전경련이 아닌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를 기업과의 소통 창구로 활용했고, 재계의 맏형 역할은 자연스레 대한상의가 차지했다. 지난해 창립 60주년 행사에도 대통령과 여당의 외면 속에 쓸쓸한 환갑을 보낼 정도였다. 재계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에서 사실 전경련은 팽 당한 조직이었다”며 “이미지 쇄신을 위해 명칭 변경까지 검토했지만 별 실익이 없었다”고 귀띔했다.

그러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전경련의 부활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오른 상황이다. 새 정부는 ‘작은 정부론’을 내세워 민간 중심의 산업정책에 방점을 찍고 있다. 시장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선 결국 대기업 중심의 전경련과 소통이 늘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다. 전경련이 당선 논평으로 “노동시장 유연성을 높이고 규제혁파를 통한 민간 주도의 성장 패러다임을 확립해 우리 기업들이 마음 놓고 투자하며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달라”며 친기업 정책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낸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만 전경련이 다시 위상을 복귀하려면 무엇보다 4대 그룹의 재가입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4대 그룹 복수의 관계자의 의견을 종합하면 이들 기업의 전경련 복귀 움직임은 전혀 드러나지 않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가치 실현 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과거 대기업 이익 대변·정경유착 이미지를 가진 전경련에 복귀하는 것 자체가 기업 평판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베어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이미 최태원 SK회장이 대한상의를 이끌고 있고 기업들이 대한상의를 중심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는 만큼 전경련 복귀는 별다른 실익은 없을 것 같다”고 했다.

이런 점을 고려해 전경련은 최근 다시 명칭 변경 방안도 검토하는 등 이미지 쇄신 방안을 짜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 2018년 전경련은 ‘한국기업연합회’로 명칭 변경을 추진하다 ‘내실 없이 이름만 바꾼다’는 비판을 고려해 철회한 바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