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같은 기술력 필수…새 시장 개척해 활로 찾아야"

이준기 기자I 2022.01.17 19:35:16

韓기업들, 中 경제 둔화 장기화 땐 직격탄…'예의주시'
"中 내수 전쟁…신기술로 무장해 새 시장 개척 나서야"

[이데일리 김상윤 경계영 최영지 송승현 기자] 중국 경제성장이 주춤하면서 대중(對中)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도 비상이 걸렸다. 그간 정치적 불확실성 증가, 미·중 갈등 지속, 성장세 둔화 등으로 요약되는 이른바 ‘중국 리스크’에 대비해 신흥국·선진국 등을 총망라한 새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전략에 집중해오긴 했으나 중국이 인구 14억5000만명이라는 거대 시장임을 고려하면 우리 기업들이 받을 파장 자체가 어마어마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사진=신정은 기자)


단기 충격파 크지 않겠지만…장기화 땐 직격탄

17일 경제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중 수출 품목 비중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반도체(30.6%) 분야다. 업계 관계자들이 “중국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일단 입을 모아 우려의 목소리를 낸 이유다.

다만, 이 관계자는 “중국 성장률이 둔화한다고 해도 중국이 반도체 공급난을 겪고 있는 만큼 우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또 즉각적으로 반도체 가격이 떨어지는 등 단기적인 반응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실제로 전략상품으로 분류되는 반도체의 경우 중국 내 경제 상황보단, 반도체 굴기를 선언한 중국 내 기업의 수요 대체 리스크가 더 크다는 계 업계의 분석이다. 임호열 탄탄글로벌네트워크 원장은 “반도체 수출 비중이 크지만, 중국에서 만들지 못하는 고부가반도체 중심으로 수출하고 있다”며 당분간 큰 문제가 되진 않을 것으로 봤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도 “반도체의 경우 충격파가 제한적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수혜를 입는 부분도 예상된다”고 했다.

특히 우리 기업이 중간재를 수출하면 중국이 이를 활용해 최종재를 만들어 파는 양국 간 무역구조를 고려하면 중국의 성장 둔화가 반도체 등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관측도 적잖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의 80%는 중간재가 차지하고 있다.

(그래픽=이미나 기자)
반면, 중국 성장 둔화를 위기로 보는 업계는 상당하다. 당장 전체 수출액의 약 30%가 중국에서 나오는 건설기계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국은 변동성이 큰 국가로 그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판단 아래 일찍부터 중국 외 시장에 공을 들여왔다”며 “지역 포트폴리오 재편과 동시에 중국 로컬 제품과 경쟁할만한 기술력을 갖춘 제품을 출시하며 중국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고 했다. 임 원장은 “중국 경제 둔화는 부동산으로 부각할 수 있는 만큼 우리 건설업이나 기계장비 산업이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철강·화학업계 관계자 역시 “최근 베이징 동계올림픽, 탄소 중립 이슈 등으로 중국이 저급 철강재뿐 아니라 제품 전반적으로 생산량을 줄이면서 우리 기업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었다”면서도 “중국 정부가 성장률 둔화에 대응해 인프라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있는데, 이 경우 우리 업계엔 악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자동차·항공업계는 중국의 성장 둔화가 장기화할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당장은 아니겠지만, 성장 둔화가 지속한다면 자동차 판매가 위축될 수는 있겠다”며 “국내 자동차 업계가 중국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데, 더 위축되는 건 아닐까 우려가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했다. 항공업계 관계자도 “장기간 현 국면이 지속하면 운임 하락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항공업계엔 직격탄”이라고 했다.

중소·중견 기업 상황은 더 나쁘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은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수출 기업엔 환율과 원자재 가격, 유가 등이 주요 변수인데,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과 유가도 많이 올라 부담이 큰 상황에서 중국 성장세 둔화라는 악재까지 더해져 수출기업 전체적으로 불확실성이 심화하고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 “中 포기하기 어려운 시장…내수 전쟁 불가피”

전문가들은 강력한 기술력을 겸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원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 로컬기업의 경쟁력 향상,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기업들이 죄다 중국에서 맞붙으면서 소위 ‘내수 전쟁’이 시작된 양상”이라며 “테슬라처럼 기술력을 갖춰야 중국시장에서 선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최 부연구위원은 또 중국의 저탄소시대 준비를 언급하며 “쉽지 않은 과제이지만, 우리 기업들이 충분히 환경 문제에 대응해 준비한다면 중국 시장을 노릴 수 있을 것”이라고도 했다.

이재수 전국경제인연합회 지역협력팀장은 “중국 시장은 여전히 포기하기가 어려운 곳”이라며 “올해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이한 만큼 양국 정상 간 적극적 교류 등을 통해 공생할 수 있는 분위기 형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