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K팹리스, 글로벌 AI시장 점유율 30% 가능..엔비디아 독주 막을 것"

최영지 기자I 2023.07.03 17:30:40

[만났습니다]이혁재 대한전자공학회 회장
올해 전자학계 화두는 AI…"불황은 연구개발 적기"
"K-팹리스 기술 수준 뛰어나…생태계 형성도 이뤄져"
삼성전자·현대모비스 등 기업 참여 눈길

[서귀포(제주)=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전자산업 불황에도, 기술연구는 더욱 활발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인공지능(AI)과 반도체 기술개발 열기가 뜨겁습니다. 엔비디아가 현재로선 AI시장을 상당 부분 점유하고 있지만 아직 장악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우리나라 팹리스(반도체 설계기업)들에도 이를 뛰어넘을 역량은 충분합니다.”

이혁재 대한전자공학회 회장 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30일 제주 롯데호텔제주에서 열린 대한전자공학회 ‘2023 하계종합학술대회’ 중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 답하는 모습. (사진=최영지기자)
이혁재 대한전자공학회 회장 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지난달 30일 대한전자공학회가 롯데호텔 제주에서 개최한 ‘2023 하계종합학술대회’ 도중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갖고 우리의 AI시장 전망을 구체적으로 내다봤다.

이혁재 회장은 사흘간 진행된 학술대회에 비춰 올해 상반기 전자분야 화두를 인공지능(AI)으로 꼽았다. 대한전자공학회에 따르면 이번 학술대회에 접수된 논문(856건) 가운데 AI 신호처리(265건)와 반도체(210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외에 컴퓨터, 통신, 시스템 및 제어 등을 주제로 한 논문이 발표됐다.

이 회장은 “AI와 반도체 관련 연구가 집중된 것만 봐도 올해 전자업계의 화두가 AI라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챗GPT와 같은 거대 인공신경망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반도체로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뜨거웠다”고 했다. 인공신경망 크기가 거대하고 실현하는 데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만큼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 반도체 발전도 수반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또 “기존 학술대회와 다르게 국내 대기업들도 학술 연구에 참여해 산·학 간 시너지 효과를 냈다”며 “반도체뿐 아니라 로봇, 전기차 관련 기업도 참여하며 산업간 융합도 관전 포인트였고, 이게 반도체와 AI가 전 산업 내 핵심기술이 돼가고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대회에는 석학뿐 아니라 삼성전자, 삼성전기와 SK하이닉스, LG전자, 현대모비스 등이 참여해 기술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향후 AI 시장에서 상당부분을 점유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다. 그는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의 시장점유율이 90% 상당으로 사실상 독점을 하고 있지만 아직 발열 문제가 있고 전력소모가 크다는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며 “퓨리오사AI와 딥엑스, 모빌런트 등 우리나라 팹리스들이 기술 수준도 상당히 올라왔으며 계속해서 기술 개발을 통한 제품 양산 단계에서 충분히 기회가 있다고 생각한다. 곧 전체 AI 시장의 30~40%를 점유할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이들 팹리스들은 이번 학술대회에도 참여해 신경망처리장치(NPU) 등 자사 개발 제품들을 선보였다.

이혁재 대한전자공학회 회장 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지난달 29일 열린 하계종합학술대회에서 개회사를 하는 모습. (사진=대한전자공학회)
다음은 이 회장과의 일문일답.

-반도체 불황에도 반도체 관련 기술 연구가 활발한 이유를 무엇이라고 보는가.


△반도체 경기가 불황일 때 오히려 업턴에 대비해 학술연구에 집중하고 기업들은 투자를 많이 하는 게 맞다. 윤석열 정부에서 반도체와 AI 산업을 지원하고 있으니 연구에도 속도가 붙는다고 볼 수 있다. 또, 경기불황과는 별개로 AI붐으로 관련 연구논문이 예년에 비해 많이 이뤄졌고 제출된 논문 수도 상당해 심사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였다. 연구계의 학술연구가 활성화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번 학술대회에서도 제출된 논문이 상당했다. 이번 학술대회에 참여한 석학 및 기업관계자만 2000명이 넘을 정도로, 대한전자공학회의 위상도 높아지고 있는 셈이다.

-학계 및 업계에서 유의깊게 보는 AI 관련 팹리스는 어디인가.

△아무래도 AI, 반도체 팹리스 성과에 집중하고 있다. 관련 제품을 개발, 양산하는 팹리스는 다 중요하게 보고 있다.(웃음) AI 설계 전문 스타트업인 퓨리오사AI와 딥엑스의 경우, AI반도체가 적용된 데모를 선보이는 단계다. 업계에선 이들 기술 수준이 상당히 올라왔다고 보고 있다. 또,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전문 팹리스인 라온텍(418420)은 확장현실(XR) 기술개발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애플이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프로가 공개한 이후 라온텍에 대한 관심도 늘고 있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콘트롤러를 주력으로 하는 파두는 팹리스 스타트업으로는 세계 최초로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 지위에 올라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글로벌 반도체 설계자산(IP)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오픈엣지는 자동차용 프로세서(AP)를 개발하는 텔레칩스와 함께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용 칩 개발 국책과제를 성공시켰다. 이는 팹리스 생태계를 형성하는 성과로 볼 수 있다.

-기업 차원에서는 어떤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나.

현대모비스(012330)는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로 학회에 참여했다. 자동차도 부품제조에서 ADAS 기능과 커넥티비티 기술 등 모빌리티 솔루션에 주력하고 있으며, 여기에 반도체와 AI가 활용돼야 해 이쪽으로 인재채용도 하고 기술개발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안다.

학회에 참여한 삼성전자(005930)SK하이닉스(000660)의 경우 글로벌 주요 메모리 제조사답게 AI반도체 중 하나로 꼽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과 HBM과 프로세싱 인 메모리(PIM)를 결합한 HBM-PIM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들 기업 덕분에 우리나라가 PIM 등 지능형 메모리를 더 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학계에서도 PIM 분야 경쟁력을 보고 관련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 팹리스들이 엔비디아를 뛰어넘을 역량을 갖고 있다고 했다. AI 반도체 성과를 위해 우리 기업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어떻게 보는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이 제일 중요하다고 볼 수 있고, 이는 삼성전자가 열심히 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위탁 생산만큼 중요하게 보는 게 기술개발이다. AI반도체의 경우 아직 완전한 기술이 나오지 않았다고 보는 게 학계 주요 시각이다. 엔비디아가 AI용 GPU시장을 90% 장악하고 있다고 하지만 미래엔 어떻게 시장이 변할지 아직 아무도 모른다. 엔비디아가 지금 GPU제품 만으로 시장을 장악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없다. 다만 AI반도체쪽으로 K-스타트업도 많이 기술, 제품 개발을 하고 있지만 스타트업만으로는 힘이 부족하다. 학계 연구와 힘을 합쳐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하반기 반도체 업황 어떻게 전망하나.

△반도체는 사이클을 타는 산업인 만큼 언젠가는 다시 반등을 할 수밖에 없다. 지금 저점 사이클에 와 있고 언젠가 다시 반등을 할텐데 이목이 집중되는 건 그 반등 시기다. 중국 경기 회복이 아직 체감되고 있지 않아 반등 시점도 더뎌지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하반기에는 중국 경기 회복이 가시화하지 않을까 싶다. 이때 우리 메모리반도체 제조사들이 기존 재고를 다 소진하며 데이터센터·서버 신규투자 시기에 맞물려 제품 판매를 할 것이고 결국 업황이 반등하는 수순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혁재 대한전자공학회 회장은 △서울대 전자공학과 △미국 퍼듀대 공학박사 △루이지애나대 조교수 △인텔 선임 엔지니어 △산업통상자원부 시스템반도체 PD △국가 미래성장동력 지능형반도체 추진단장 △차세대반도체 혁신공유대학 사업단장 △현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학부장) △현 시스템반도체 산업진흥센터 센터장 △현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위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