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출시 2년' 제로페이, 2배 성장…재난지원금 덕에 ‘훨훨'

황병서 기자I 2021.11.16 15:53:16

이날 기준 제로페이 가맹점 130만
출시 2년 만…매년 2배 가까운 성장
모객 유치엔 한계…마땅한 돌파구 없어

(이미지=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지난 11월 2일 오전 9시 57분. A씨(36·여)는 휴대폰 알람 소리를 듣자마자 ‘비플제로페이’ 앱에 접속했다. 10시에 판매가 시작되는 영등포사랑상품권을 구입하기 위해서다. A씨는 “동네 고깃집과 지역 마트 등 영등포사랑상품권으로 결제할 수 있는 곳이 꽤 많은 것을 최근에 알게 됐다”면서 “그동안 이것을 몰라 남들 다 받는 10% 할인을 못 받고 날려버린 게 아깝다. 앞으로는 상품권이 나올 때마다 최대 구매 한도인 70만원까지 구입해 유용하게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드사와 빅테크 등의 수수료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시장의 또 다른 참여자인 제로페이가 코로나19시대 재난지원금 등을 업고 비상하고 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액이 크게 증가하면서 이와 연동된 제로페이의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한국간편결제진흥원)
지역사랑상품권 붐 타고…출시 2년 만 가맹점만 130만개

16일 금융업계 등에 따르면 한국간편결제진흥원은 이날 기준 제로페이 가맹점은 130만개(133만3022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2019년 약 31만개, 2020년 72만개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매년 2배 가까운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다. 오는 2022년에는 200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이 지불하던 결제수수료를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된 결제 인프라다. 지난 2018년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제로페이는 선불결제, 직불결제, 후불결제, 포인트, 바우처 등 다양한 서비스와 융합 가능한 QR 인프라로, 22개 은행과 26개 핀테크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간편결제망이다. 연매출액 기준 8억원 이하 소상공인은 제로페이 수수료를 전혀 내지 않는다. 현재 제로페이 가맹점 90%는 이와 같은 수수료 면제 혜택을 받고 있다는 것이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측의 설명이다.

특히 제로페이는 코로나19 이후 핀테크 정책자금 시대를 이끌며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최근 한결원은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을 제로페이 연계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신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소상공인 지원을 최우수 과제로 가져온 만큼 각 지역 내 골목상권이나 전통시장 상인들을 중심으로 가맹점을 늘려왔다. 업종별 가맹 현황을 살펴보면 음식점이 29만7000여 개로 가장 많았다. 생활 및 교육업이 23만개, 편의점 및 마트가 10만여 개로 그 뒤를 이었다. 제로페이는 편의점에서부터 동네마트, 병의원, 약국, 미용실, 실내체육센터 등 다양한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이용되고 있다.

(표=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실)
모객 유치에 여전히 한계…소득공제 40%도 무산

반면에 수수료를 부담하는 소상공인에게 매력적인 요소지만 결제를 수행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이나 이점이 미진하다는 문제가 있다. 민간 결제 사업자처럼 수수료를 높여 매출을 늘린 후 이를 마케팅이나 프로모션 비용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제로페이 사업의 시작이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주도의 사업에서 시작했기 때문이다.이 같은 점을 의식해 당초 제로페이 소득공제율은 40% 안으로 추진했으나 이마저 무산되고 30%로 하향됐다. 이는 현금영수증이나 체크카드 소득공제율과 별반 다르지 않다.

아울러 제로페이가 가맹점수 늘리기에는 성공했을지 몰라도 실질적인 혜택이 소상공인들에게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98만9058개의 제로페이 가맹점 중 절반이 넘는 54만7158곳(55.3%)에서 제로페이 결제를 단 한 번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한 바 있다. 운영 2년 8개월이 지난 현재 누적결제액 1000만원이 넘는 가맹점은 4.7%(4만6450곳)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