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강행키로…제주 앞바다 어쩌나

김보겸 기자I 2020.10.16 13:50:45

일본 정부, 원전 오염수 해양에 흘려보내기로
"일본산 수산물 안 팔린다"는 어민 반대에도 강행
하루 180톤씩 쏟아지는 오염수, 저장 한계치

지난 2013년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후쿠시마 현 소마 시 근해에서 잡은 수산물을 시식하고 있다(사진=AFP)
[이데일리 김보겸 기자] 일본 정부가 이달 안에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버린다는 방침을 굳혔다. 바다가 오염돼 일본산 수산물 판매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일본 어민들과 주변국의 반발에도 오염수 방류를 강행하는 것이어서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후쿠시마 대학 등에서 진행한 연구에서 오염수가 방류되면 220일 안에 제주도, 400일 안에 서해에 도달한다는 결과도 있어 한국 어민들까지 피해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일본 정부가 2011년 동일본대지진으로 파괴됐던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에 대해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낮춘 후 바다에 방류할 계획이라고 16일 니혼게이자이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이 같은 방침을 최종적으로 결정할 각료 회의를 한 달 안에 개최할 예정이다.

현재 원전에서는 사고 이후 오염수가 하루에 180톤씩 생기고 있다. 후쿠시마 제1원전이 폭발하면서 녹아내린 핵연료를 냉각하고자 물이 주입됐고, 이 탓에 방사성 물질을 함유한 오염수가 매일 발생하는 것이다. 이 속도라면 2022년에는 오염수를 보관하는 탱크 용량이 한계에 달한다. 게다가 오염수를 원전 부지에 계속 모아두면 2041년에서 2051년 사이 완공을 목표로 하는 사고 원전의 폐로작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기 전 방사성 물질 농도를 낮추겠다는 단서를 달긴 했지만 여전히 삼중수소라는 방사성 물질은 남는다. 후쿠시마 제1원전을 운영하는 도쿄전력은 삼중수소 이외의 방사성 물질을 충분히 제거한 오염수의 500~600배에 해당하는 물을 섞어 바다에 쏟는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했을 때 삼중수소 농도는 기준치의 40분의 1에 그친다는 것이 이들 설명이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어민들의 반발에도 이 같은 결정을 강행하기로 했다. 지난 15일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전어련)는 경제산업성을 방문해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면 “풍평 피해(소문에 의한 피해)로 어업의 장래에 궤멸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해양 방출을 반대했다. 오염수를 해양 방출하면 바다가 오염돼 일본산 수산물이 안 팔릴 수 있다는 우려다. 실제로 선거철만 되면 후쿠시마산 수산물을 시식하며 안전성을 강조한 아베 신조 전 총리의 ‘먹방’에도 불구하고 우려는 사그라들지 않았다.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은 오염수 방류를 이른 시일 내 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원전 오염수의 해양방출은 한국에서도 예민한 문제다. 한국과 일본은 최근까지도 ‘처리수’냐 ‘오염수’냐를 놓고 신경전을 벌여왔다. 지난달 22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국제원자력기구(IAEA) 총회에서 원전 오염수가 정화를 거친 ‘처리수’라는 입장을 고집하는 일본 대표에 한국 측은 계속해서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오염수’라고 정정하는 등 기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또한 한국 측은 원전 오염수를 희석한다 하더라도 바다에 방류하면 방사성 삼중수소가 해양에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일본 안팎에서 반발이 나오지만 일본은 해양 방출을 고집할 전망이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는 지난달 26일 후쿠시마 제1원전을 시찰하며 “가능한 한 빨리 정부로서는 책임을 가지고 처분 방침을 결정하고 싶다”며 해양 방출 방침을 굳혔음을 시사했다. 지난 2월 전문가들은 오염수를 바다에 흘려보내는 해양 방출과 수증기 형태로 대기에 방출하는 수증기 방출 방식이 현실적인 선택사항이라며, 이 중 해양 방류가 기술적 측면에서 확실히 처분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전의 오염수 보관 탱크. 정화작업을 거쳤지만 방사성 물질은 여전히 남아 있다(사진=AFP)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