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코로나로 빨라진 비대면소비 확산…서비스업계 "2년내 10~30% 고용감소"

원다연 기자I 2020.09.25 12:00:00

코로나19에 비대면소비 확산 빨라져
서비스업계 86.7% "업황에 부정적"
사업환경 불확실성, 시장점유율 저하 우려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완화 조치 시행 이틀째인 15일 점심시간 서울 명동거리가 비교적 한산하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코로나19로 확산된 비대면 소비에 서비스업계에서는 2년 이내에 10~30% 수준의 고용 감소가 현실화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2020년 9월 지역경제보고서의 ‘비대면 소비행태 확산과 서비스업계의 대응전략’을 통해 이같은 서비스업계 업황 조사 결과를 밝혔다. 조사는 지난달 12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서비스업체 291개를 대상으로 진행해 205개 업체(비금융 166개·금융 및 보험업 39개)가 응답한 결과다.

올 2~7월 중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기대비 평균 30.3% 증가해 코로나 19 이전(2018년 21.7%, 2019년 22.2%) 수준을 훌쩍 뛰어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이 경제의 디지털화 진전과 함께 비대면 소비 행태를 더욱 가속화한 영향이다.

이같은 비대면 소비 확산 추세에 대해 서비스업체(금융업 제외)의 86.7%는 자사 업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이들은 비대면 소비 확산에 따른 매출 감소(46.5%)를 가장 크게 우려했고, 이어 사업환경의 불확실성 증대(25.4%)와 시장점유율 저하(14.8%), 신규 투자 등 비용 증가(9.4%) 등을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비대면 소비 확산이 고용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응답이 58.2%로 우세했다. 현재 고용수준 대비 고용 감소 규모로는 10~30%를 꼽은 비중이 31.6%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90.4%)은 이같은 고용 감소가 2년 이내에 현실화될 것으로 봤다.

한편 서비스업체들은 비대면 소비 확산에 대응해 관련 인프라 투자에 가장 힘을 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소비 확산에 전사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응답이 63%를 차지한 가운데 중점 추진 과제로 IT 등 관련 인프라 투자(27.0%), 신사업 모델 개발(21.5%), 서비스 공정 혁신(17.1%) 순이 꼽혔다.

업체들은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 정부의 지원정책이 미흡한 점(24.0%)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했고 이어 기술 및 투자자금이 부족하다(22.4%)는 의견도 뒤를 이었다. 정부에 대한 건의사항으로는 관련 법을 개정하고 규제를 완화(30.6%)를 요구하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투자 관련 보조금 지급(30.6%), 세제 혜택(21.3%)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금융 및 보헙업계에서도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라 업황 악화 가능성을 우려하는 답변이 68.3%로 다수를 차지했지만, 비금융 서비스업체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가 53.8%로 과반을 넘어서는 가운데 현 수준 이내 10% 수준의 고용 감소가 1~2년 이내에 현실화될 것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자료=한국은행)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