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이 16일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12일 기준) 미국 일간 신규 확진자수는 15만526명을 기록했다. 7일 평균 기준으로 전주(5일) 대비 41% 증가한 것이다. 10월 초부터 주간 코로나 확산 추이가 4%, 16.8%, 14.4%, 24.5%, 20.1%, 41.0%로 점점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1차 확산 이후로 경제 셧다운 조치를 시행하지 않았지만, 의료 전문가들은 특정 지역별 셧다운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
서상영 연구원은 “주요 선진국의 코로나 급증은 산업생산 위축으로 이어지며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으로부터 수입수요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면서도 “코로나19 확대가 글로벌 경기 위축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미국 제약사 화이자에서 백신 개발에 속도가 붙고 있다고 밝히며 코로나19 조기종식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실질적인 접종은 내년 하반기나 되어야 진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결국 이러한 변화는 장기화할 수 있어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서상연 연구원은 코스피 지수는 2450~2,550선 사이의 등락을, 코스닥지수는 820~860선 사이의 등락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서 연구원은 “이번 주에 연준위원들의 경제 전망과 관련된 발언들 또한 매일 있다”며 “그동안 외면 당했던 경기 위축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 주목된다”고 짚었다. 이어 “더 나아가 미국과 중국의 실물 경제지표결과가 예상보다 부진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