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아직 젊은데…노인보다 더 위험한 이것[뇌졸중 극복하기]

이지현 기자I 2024.04.13 13:33:29

[32편]
뇌출혈 비율 높고 발생 원인도 다양
혹시 마약?…약물남용선별검사도
젊을수록 위험인자 관리 2배 안 돼

서울대 의대 학사, 석·박사를 거친 김태정 서울대병원 신경과·중환자의학과 교수는 현재 대한뇌졸중학회에서 홍보이사를 맡고 있다. ‘뇌졸중 극복하기’ 연재 통해 뇌졸중이 치료 가능한 질환임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서울대병원 신경과 김태정 교수] 뇌졸중은 뇌혈관이 갑자기 막히거나 (뇌경색) 파열되어 (뇌출혈) 발생하는 초응급 중증 질환이다. 뇌졸중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으로 알려졌지만, 뇌졸중 환자의 10명 중 1명 이상이 젊은 뇌졸중 환자다. 특히 이들은 장노년기 뇌졸중보다 뇌출혈 위험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젊은 뇌졸중 특징 셋

뇌졸중의 중요한 위험인자는 나이들수록 유병률이 높아지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방세동, 또한 흡연, 음주 등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뇌졸중 환자의 평균 연령은 약 70세 정도로, 세계적으로 비슷한 추세다.

젊은 뇌졸중은 나이 기준이 다양하지만 보통 50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뇌졸중을 의미한다. 전체 환자 중 10~1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00명 뇌졸중 환자 중에서 10~15명은 50세 이하라는 이야기다. 발생률도 따지면 10만명당 8~23명 정도기 때문에 중장년, 노년기 뇌졸중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다.

젊은 뇌졸중의 특징은 크게 3가지다. 첫 번째는 장노년기 뇌졸중에 비해 뇌출혈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전체 뇌졸중 중 80~85%는 뇌경색, 15~20%는 뇌출혈인데, 젊은 뇌졸중의 경우는 뇌경색이 50~60%, 뇌출혈이 40~50%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두 번째는 뇌졸중 발생 원인이 장노년기 뇌졸중 보다 다양하다는 것이다. 젊은 뇌졸중 환자들의 대표적인 뇌졸중 원인은 장노년기 뇌졸중과 비슷하게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질환, 비만, 음주, 흡연 등이다. 다만, 이러한 위험인자가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나이는 40세 이상의 뇌졸중 환자다. 20~30대 뇌졸중 환자에서는 다른 위험인자들이 있는 경우가 있다. 혈전을 잘 만드는 혈액질환, 혈관염, 경동맥 혹은 척추동맥의 박리, 모야모야병, 편두통, 여성의 경우는 임신과 호르몬제 복용 등이 대표적인 다른 뇌졸중의 원인이 된다. 이 중 대부분은 뇌경색의 위험인자와 원인이 되며 모야모야병은 뇌경색과 뇌출혈을 모두 발생시킬 수 있다.

세 번째는 뇌졸중 발생 후 신경학적 증상과 신체적 회복이 좋고 더 빠르다는 것이다. 하지만, 젊은 뇌졸중 환자일수록 뇌졸중이 회복돼 가정과 사회, 직업으로의 복귀 가능성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재활과 더불어 우울증 등에 대한 심리적인 지지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젊은 뇌졸중…다양한 원인 찾기 이유는

김태정 서울대병원 신경과·중환자의학과 교수
젊은 뇌졸중 환자가 입원하게 되면, 뇌경색 환자의 경우 정맥내 혈전용해술, 동맥내 혈전제거술과 같은 초급성기 치료, 항혈소판제 혹은 항응고제를 투약해 급성기부터 뇌졸중 이차예방을 진행하는 것은 똑같이 진행된다. 하지만, 장노년기 환자보다 뇌졸중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세하게 뇌졸중 원인에 대해 검사하게 된다. 심지어 호르몬제 복용이나 국내에서는 불법이지만 최근 점차 불법 노출 가능성이 제기 되고 있는 마약류 사용 등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고, 의심 상황이라면 약물남용선별검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비교적 젊은 나이에 뇌졸중 병력이 있던 직계가족이 있다면 유전적 요인도 고려가 필요하다. 뇌졸중은 여러 원인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주는 질환이기 때문에 유전적으로 뇌졸중인 발생하는 경우는 1% 정도 혹은 그 미만으로 굉장히 드물다. 하지만, 직계 가족 중 젊은 뇌졸중이 발생한 환자가 있고,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뇌졸중의 다른 임상적 특징이 동반됐다면, 관련 유전자 검사를 진행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젊은 뇌졸중 환자의 뇌졸중 이차예방 치료는 다른 약을 사용할까. 기본적으로 투약하는 약물이 다르지는 않다. 비심장탓 뇌경색이라면 항혈소판제를 투약하게 되며, 심장과 관련이 있고 심방세동과 같은 부정맥이 있다면 항응고제를 투약한다. 만일 60세 이상이고 뇌경색의 원인이 열린타원구멍(좌-우 심방중격에 존재하는 구멍) 때문이라고 한다면 그 구멍을 막는 시술을 할 수도 있다. 심장이 원인은 아니나 항인지질항체증후군과 같은 혈전 생성을 높이는 질환이 원인으로 확인 된다면 항응고제를 복용하게 된다.

모야모야병이 확인 되는 경우 급성기 시기가 지나면 뇌혈류 개선을 위해 뇌혈관 우회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위험인자가 확인된다면 해당 위험인자를 적극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젊을수록 위험관리 “No”…결국 뇌졸중 심장질환도

젊은 뇌졸중 환자의 주요 위험인자는 전통적으로 알려진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음주와 같은 혈관 위험인자다. 하지만 젊은 수록 이런 위험인자는 잘 관리가 안 된다. 국내 연구 결과를 보면 뇌경색 환자가 뇌경색 후 새롭게 위험인자를 진단받는 중요한 원인이 바로 젊은 나이다. 45세 이하의 뇌경색 환자는 45세 이상 뇌경색 환자보다 위험인자 관리가 2배 정도 안 된다. 젊을수록 건강 관리를 덜 하게 되고, 본인이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이 있다고 들어도 해당 질환이 평소 증상이 없이 진행하기 때문에 관리하지 않고 치료하지 않고 좋아질 거라고 막연하게 생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은 이러한 위험인자가 관리가 되지 않으면 결국 뇌졸중, 심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뇌졸중은 한번 생기면 이후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기고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필수 중증 질환 중 하나이다. 증상이 경하든, 중하든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게 된다. 젊은 뇌졸중 환자의 경우 평소 본인이 하던 일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고, 결국 젊은 뇌졸중 환자의 경우 사회경제적 소실, 부담, 가정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뇌졸중이 생겨 후유장애가 남는다면 50~60년 남은 인생을 평생 침상에서 남의 도움을 받으며 살아야 한다. 따라서, 뇌졸중이 생기지 않도록 젊은 나이부터 관리하는 것이 모든 사람의 꿈인 ‘9988124(99세까지 팔팔하게 살다가 하루 이틀 아프고 죽고 싶다)’를 이룰 수 있는 첫걸음이 된다. 젊다고 안심하지 말고, 평소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진단받은 질환을 적극 관리하여 뇌졸중으로부터 자유로운 노년을 맞이하기를 바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