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추락한 직업계고 취업률, 반전시킬 대책 필요하다

논설 위원I 2020.11.30 06:00:00
올해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반 등 전국 576개 직업계 고교 졸업생 가운데 취업에 성공한 비율이 28%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교육부가 1~2월 직업계고 졸업생을 대상으로 4월 1일 현재 취업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지난주에야 발표했는데, 그 내용을 보니 그렇다. 2017년 51%에서 3년 만에 거의 반 토막으로 추락했다. 2011년 26% 이후로는 9년 만의 최저 수준이다. 공약 1순위로 일자리 증대를 내걸고 특히 청년 일자리 증가를 강조해온 문재인 정부 아래서 벌어진 일이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내놓으며 애써 그 의미를 축소시키려는 태도를 보였다. 교육부는 올해부터 변경된 조사·집계 방식을 적용해서 대학 진학자와 군 입대자를 제외한 나머지 졸업생을 기준으로 취업자 비율을 계산해 ‘취업률’로 내세웠다. 그 수치는 51%로 전체 졸업생 기준 취업자 비율 28%의 거의 두 배다. 졸업생 가운데 원하는 회사에 취업이 여의치 않아 대학 진학과 군 입대를 선택하는 경우가 적지 않음을 고려하면 이런 식의 취업률 계산은 문제가 있다.

게다가 전체 졸업생 가운데 대학 진학자 비율이 지난해 41%에 이어 올해 43%로 2년 연속 취업률을 큰 격차로 넘었다. 직업계고를 다녔어도 배움에 뜻을 품거나 더 높은 지식과 기술 습득을 원한다면 얼마든지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 그러나 직업교육을 목표로 설립된 직업계고 졸업생 가운데 절반 가까이나 대학 진학을 선택하고 있다면 그 교육과정에 심각한 결함이 있다고 봐야 한다. 졸업과 동시에 취업으로 연결되지 않는 직업계고는 존재할 필요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입학 지원자가 정원에 미달해 신입생 모집에 애를 먹는 실업계고가 늘어나는 추세도 그 때문일 것이다.

정부는 직업계고 졸업생 취업률 추락을 예사롭지 않은 경고로 받아들여야 한다. 경기 불황이나 코로나 사태로 인한 취업난의 영향을 들먹일 일이 아니다. 안전 문제로 인한 고교생 현장실습 축소 조치의 영향만으로도 설명되지 않는다. 깊이 있게 원인 분석을 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직업계 교육 과정 전반을 개선해야 한다. 그래야만 추락한 직업계고 졸업생 취업률을 다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