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스마트폰 등 수요 감소에..삼성·SK 투자 줄이나

김상윤 기자I 2022.07.05 07:53:49

수출증가율 하락세..3분기 전망 더욱 악화
IT기기 수요↓…메모리 가격하락 방어 관건
3인방 수싸움..마이크론은 설비축소 카드 던져

[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요 감축이 메모리 반도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PC, 스마트폰 등 IT기기에 대한 수요가 줄면서 반도체 재고가 축적되고 가격도 떨어지고 있다. 메모리반도체 3위 업체인 마이크론은 당장 설비투자 계획을 재검토하겠다고 나서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반도체 수출액은 123억5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0.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동차, 일반기계, 가전 등이 역성장한 것을 고려하면 반도체 상황은 여전히 건재한 것처럼 보인다. 수출증감률이 ‘플러스’인 만큼 2분기까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실적은 역대급 성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수출증감률은 지난 3월 37.9%에서 4월 16.0%, 5월 14.9% 등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점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고환율 효과를 제외하면 증가율은 더욱 낮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3분기 이후 업황이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인 가트너는 올해 전 세계 PC와 스마트폰 출하량이 작년보다 각각 9.5%와 5.8%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IT기기 수요 감소는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메모리카드·USB에 쓰이는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의 6월 고정거래(대량구매)가격도 4.67달러로 전달 4.81달러보다 3.01% 내렸는데 7월 이후 더욱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초 연초만 해도 하반기부터는 D램 업황이 반등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었지만 상황이 180도 달라졌다.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영향으로 중저가 스마트폰 판매가 부진했고 인플레이션 고조로 인한 경기침체까지 겹치면서 PC에 대한 수요도 점차 하락하고 있다. 그나마 구글, 아마존 등 서버용 D램 수요가 건재하지만 전반적인 수요 침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실제 마이크론은 PC와 스마트폰 수요 부진 등을 이유로 4분기(6~8월) 매출 전망치는 72억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3분기 매출뿐만 아니라 당초 4분기 전망치인 92억달러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메모리반도체 3위 업체인 마이크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보다 빨리 실적 및 전망치를 제시하기 때문에 향후 메모리 업황을 엿볼수 있는 가늠자다.

반도체 수요가 줄면서 재고 문제가 불거지자 마이크론부터 설비투자 축소에 나섰다. 수밋 사다나 마이크론 최고사업책임자(CBO)는 오는 9월부터 설비 구매와 시설투자 등 시설투자액(CAPEX)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향후 반도체 생산을 줄이고 재고를 소진하면서 D램 가격하락을 방어하겠다는 취지다. 메모리업계에서는 나름 ‘서프라이즈’한 발표였다고 평가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마이크론이 설비투자 감축에 나서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역시 CAPEX 축소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당분간 수요 감축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전략을 취하기보다는 공급을 축소하면서 D램가격하락을 방어해 수익성을 키우는 게 낫다는 판단에서다.

삼성전자는 매년 역대급 투자를 해왔다. 반도체 슈퍼호황기였던 2018년 CAPEX를 43조4000억원까지 집행하고 이후 3년간 평균 32조원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다 지난해에는 역대급인 48조2000억원을 집행했다. 이중 반도체부문에만 43조6000억원을 투입할 정도로 과감한 투자에 나섰다.

하지만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올해의 경우 예년처럼 CAPEX를 늘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향후 먹거리 분야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의 경우 지속 투자를 확대하겠지만, 메모리 투자는 보다 보수적으로 접근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업계 관계자는 “여러 경쟁자가 있을 때에는 점유율 확대를 위해 과감하게 투자에 나서고 가격 경쟁을 벌였지만, 이미 과점체제가 굳어진 상황에서 반도체업계들은 수익성 관리에 나서는 게 보다 효과적”이라면서 “마이크론이 설비투자를 줄이겠다고 나선 만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비슷한 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