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센서·플랫폼 취약…IoT 진흥법 통한 지원 시급"

신중섭 기자I 2021.11.03 06:00:00

김형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화융합연구소장 인터뷰
"네트워크 훌륭하지만 센서·소재기술 취약"
"국내 IoT 경쟁력 제고위한 국가 지원 필요"

[이데일리 신중섭 기자] “과거 비슷한 콘셉트로 ‘유비쿼터스’가 등장했지만 시장은 열리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IoT)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꼽히며 시장도 뿌리내리기 시작했습니다. 시장 육성을 위해선 국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김형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화융합연구소장
김형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지능화융합연구소장은 O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국내 IoT 시장 규모는 기업 수 기준으로 족히 2000개 이상에 달할 정도로 성장했지만 이들이 모두 ‘경쟁력’을 갖췄느냐는 별개 문제”라며 이처럼 강조했습니다.

국내 IoT 기술의 취약 분야로는 복합다중센서 기술을 꼽았습니다. 센서는 사물 주변의 상태·환경의 변화를 감지해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로 IoT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김 소장은 “네트워크 분야에선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망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안정된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면서도 “스마트폰 등에 들어가는 복합다중센서 분야의 원천기술이나 다중센서에 들어가는 소재기술이 취약하며, 이는 국내 IoT 시장 활성화를 더디게 하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다른 취약점으로는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인 ‘플랫폼’을 언급했습니다. 김 소장은 “국내에서는 통신사업자를 중심으로 각각 자체 IoT 플랫폼을 구축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플랫폼의 경우 초기 투자가 많이 필요한 분야인데 아무래도 구글, 애플 등 글로벌 기업들의 플랫폼과 비교하면 경쟁력이 많이 떨어지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통신사업자가 플랫폼을 주도하는 세상은 끝났다고 본다”며 “구글과 애플은 통신사업자가 아님에도 강력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상당수 IoT 서비스들이 이들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국내에서도 제조업체인 삼성전자가 기존의 독자·폐쇄적인 플랫폼 정책에서 최근 개방형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등 서비스의 ‘확장성’이 IoT의 핵심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소장은 국내 IoT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선 국가 차원의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IoT를 포함한 최근 기술의 트렌드는 다품종 소량 생산의 ‘롱테일 시장’”이라며 “국내 기업이 이러한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세제 혜택과 같은 인센티브는 물론, 가격 경쟁력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정부·지방자치단체 구매·조달 시 중소기업 제품을 우선 구매 해주는 제도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도 중요하다는 설명입니다. 김 소장은 “대기업의 IoT 기술 개발 방향과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가 서로 충돌하지 않게끔 정부가 역할을 해줘야 한다”며 “실증사업 시 중소기업이 우선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전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지능형 사물정보통신 진흥 및 이용 활성화법’(IoT 진흥법)이 조속히 제정돼야 한다는 게 김 소장의 바람입니다. 앞서 지난 4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IoT 진흥법’을 발의했습니다. 김 소장은 “늦게라도 IoT 진흥법이 발의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정부와 국회는 국내 IoT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당 법률 제정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