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가이드라인 앞두고 숨죽인 밸류업株…정책 수위 ‘촉각’

이정현 기자I 2024.05.01 05:20:00

2차 세미나 앞두고 눈치보는 밸류업 테마주 투심
기대감 채울시 재상승 동력 확보, 반대시 조정 불가피
밸류업 투자 방향성은 유효…“실적 안정성도 챙겨야”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정부가 주도하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가이드라인 공개가 임박하자 관련 종목이 어느 정도 수혜를 입을 것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제22대 총선에서 여당이 참패한 후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 동략이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만큼 정책 수위에 시장이 촉각을 세우는 모습이다.

시장의 기대감을 채워줄 정책이 공개될 시 연초와 같은 저PBR(주가순자산비율) 종목 주도의 상승장이 전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증권가에서는 밸류업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저PBR 종목의 우상향을 점치면서도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30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대표적인 저PBR 섹터이자 밸류업 수혜가 기대되는 금융 관련주는 최근 강세 흐름을 뒤로하고 대부분 약세로 장을 마감했다.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지난주 11.57% 올랐던 KRX은행 지수는 이번 주 들어 0.05% 하락했으며 11.44% 오른 KRX보험은 1.19% 빠졌다. 7.17% 상승했던 KRX증권은 0.33% 오르는데 그치는 등 기세가 꺾였다. 현대차(005380) 등이 포함된 KRX자동차는 1.00% 상승하며 코스피 상승률(1.43%)을 하회했다. 지난주에는 4.46% 상승한 바 있다.

시장에서는 밸류업 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공개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짙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 주도 기업가치 제고 방안에 대한 기대감을 선반영하며 최근 주가가 상승했으나 지난 1차 세미나 당시처럼 막상 가이드라인 내용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상단을 제한했다는 평가다. 만약 가이드라인의 내용이 시장의 기대와 어긋난다면 당분간 밸류업 수혜주의 조정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한국거래소는 오는 2일 유관기관과 함께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2차 세미나’를 열고 기업가치 제고 계획 가이드라인에 대한 자문단의 최종 의견을 공개하고, 밸류업 지원방안 추진 경과와 향후 추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상장사가 중장기적인 기업 가치 제고 목표와 달성 시점, 달성 계획 등을 공시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지난 2월26일에 있었던 1차 세미나에 이어 좀 더 구체화된 정책 계획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 당국과 업계 등에 따르면 가이드라인에는 빠르면 5월부터 밸류업 관련 공시가 이뤄질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이 같은 공시는 기업 자율에 맡기는 등 정부의 가이드라인은 인센티브에 방점이 찍힐 것이란 전망이다. 배당소득 분리 과세와 자사주 소각에 대한 법인세 세액공제 등 정부가 추진의사를 밝힌 내용이 화두이나 ‘여소야대’ 국면에서는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

그동안 대형 저PBR 종목에 집중된 밸류업 동력이 성장주로 확산할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한국거래소가 가이드라인 공개를 앞두고 중소벤처기업의 참여를 독려하겠다고 밝히는 등 상대적으로 밸류업 랠리에서 소외된 중소형 저PBR 종목에 대한 지원 의지를 내비쳤기 때문이다. 다만 중소기업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밸류업 관련 계획수립·이행 여력이 부족한 기업이 다수인 만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기대치가 주가에 선반영된 만큼 2차 세미나에서 시장의 예상보다 더 구체적이고 더 강한 결과가 없다면 실망감 유입이 불가피하다”며 “실질적으로 구체적이어야 고점을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밸류에이션 레벨업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추후 밸류업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 이에 따른 기업들의 액션 플랜, 진행 상황 등에 따라 ROE(자기자본이익률) 전망이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밸류업 수혜주가 다시 변동성 구간에 접어드는 만큼 상대적으로 실적 안정성이 높은 종목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안영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불확실한 외부 요인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우며 실적에 대한 안정성도높고 주주환원 확대 가능성도 가장 높다고 보이는 종목이 주가 상승 모멘텀이 가장 클 것”이라며 “모멘텀이 부재한 종목들에 대해서는 우려 요인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높은 밸류에이션 매력도가 부각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예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