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코로나대출 연장 가능성에 ‘안절부절’

전선형 기자I 2021.08.02 05:30:00

[깜깜이 코로나 대출 연장]③"차주 상환능력 모르쇠"
저축은행 평균 신용등급 5등급...부실화 가능성 높아
카드ㆍ캐피탈은 수신기능 없어...유동성 경직 우려

[이데일리 전선형 기자]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대출만기 연장 및 이자유예조치 등의 금융지원조치가 또다시 연장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2금융권에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은행보다 지원 규모는 작지만, 취약층 이용이 많다는 점에서 금융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이유에서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저축은행과 여신금융사(카드사, 캐피탈)들은 9월 코로나19 관련 대출만기 연장 및 이자유예조치 연장을 염두에 두고 회계 등의 시스템을 준비 중이다. 아직 금융당국에서 정확한 가이드가 나온 상태는 아니지만 업계는 사실상 추가 6개월 연장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4월부터 중소기업·소상공인의 대출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을 유예하는 조치를 시행해왔다. 코로나19로 인행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이 유동성 위기를 겪지 않도록 하자는 조치였다. 당초 6개월 시한을 두고 시행됐으나, 코로나19가 쉽게 잡히지 않으면서 이미 두 차례 연장돼 오는 9월 말 종료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최근 코로나19 4차 확산이 진행되면서 추가 연장으로 무게가 기울고 있는 상황이다.

(사진=연합뉴스)
금융사들의 마음은 복잡하다. 코로나19 금융지원 규모가 만만치 않은 데다, 이자유예로 인해 차주들의 상환능력이 가려지게 되면서 리스크가 커졌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 금융권의 신규대출과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상환유예 지원금액은 204조2000억원이다.

특히 중ㆍ저신용자 및 다중채무자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과 여신금융사 등 2금융권은 더욱 불안한 상태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금융지원 규모는 총 5700억원 수준이다. 전체 규모로는 작지만, 저축은행 지난해 순익(1조4000억원)의 40% 수준에 달해 만만치 않은 규모다.

특히 저축은행을 이용 사람들의 평균 신용등급이 다른 2금융권 대비 낮다는 것도 불안요소다. 잠재부실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예금보험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저축은행 개인사업자 차주의 평균 신용등급은 5등급으로 타업권(여신 3.2등급, 상호금융 3.2등급) 대비 낮다. 30일 이상 연체기록을 보유한 차주의 비중을 의미하는 단기 잠재부실률은 6.9%, 90일 이상 장기 잠재부실률은 5.5%로 나타났다. 이 역시 타 업권 평균(여신 2.7%, 1.6%)을 웃도는 수치다.

카드사와 캐피탈사들도 부담스럽긴 마찬가지다. 카드사나 캐피탈사는 은행 및 저축은행과 달리 수신 기능이 없기 때문에 만기연장이나 이자유예를 해주는 동안 여전채 등 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이자를 내고 돈을 빌려와 무상으로 돈을 빌려주고 있는 셈이다.

특히 카드사의 경우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간단하고 쉽게 빌릴 수 있는 구조 때문에 다중채무자 비중도 높은 편이다. 최근 추경호 의원(국민의힘)실에 따르면 7개 전업카드사 3월 말 현재 카드론 이용자 중 3개 이상의 금융사에서 대출을 보유한 다중채무자는 전체의 6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2금융권 관계자는 “대출이란 게 기본적으로 상환능력을 보고 대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데, 이 부분이 금융지원 조치로 희석돼 있어 부실화 위험이 더 커진 것”이라며 “만기연장은 둘째치더라도 이자유예 부분이라도 서서히 풀어 상환능력을 판단해 채권을 부실채권으로 분류한다든가 하는, 최소한의 조치를 취하게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지원은 은행 뿐 아니라 취약차주가 많은 다른 금융업권도 함께 해당 되는 사안”이라며 “연착륙 등 세분화된 방안이 나오는 게 가장 좋다”고 조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