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장관, 베트남과 화상회의…韓기업인 입국허용 확대 추진

김형욱 기자I 2020.04.13 17:52:41

양국 간 전자적 원산지증명서 교환시스템 도입 추진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짠 뚜언 안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화상회의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짠 뚜언 안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우리 기업인의 베트남 입국 허용 확대를 논의했다.

13일 산업부에 따르면 성윤모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짠 뚜언 안 장관과 화상회의를 열고 기업인 이동을 포하한 코로나19 확산 대응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성 장관은 짠 장관에게 밀접하게 이어진 양국 산업 공급망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선 필수 기업인의 이동이 꼭 필요하다며 베트남 산업무역부가 한국 기업인에 대한 원활한 입국 절차를 지원해 달라고 당부했다.

베트남 정부는 코로나19가 국내에 급속도로 퍼진 2월 말 이후 한국발 입국을 제한하면서 국내 기업인이 현지 사업에 차질을 빚었다. 베트남 정부는 이후 현지 사업 규모가 큰 삼성·LG 등 기업의 엔지니어 입국을 한시 허용했는데 이를 중소기업으로까지 확대해 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달 3일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 중소기업 인력의 베트남 입국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해 긍정적인 답변을 이끌어낸 바 있다.

베트남은 중국, 미국에 이은 우리나라 3대 수출 대상국이자 4대 수입국이다. 또 미·중 편중에서 벗어나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국가와의 교류를 확대하려는 우리 정부의 신남방 정책의 핵심 국가이기도 하다.

성 장관은 또 베트남이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의장국이라는 점을 고려해 한-베트남 기업인 입국 허용 사례를 다른 아세안 국가에 확대 적용할 수 있도록 주도적인 역할을 해 달라고도 당부했다.

성 장관은 또 우리의 아세안 기술협력사업인 TASK 프로젝트를 위한 베트남 현지 거점(TASK센터)의 빠른 설립과 국내 프랜차이즈 기업에 대한 경제적수요평가(ENT) 규제 해소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성 장관과 짠 장관은 이날 화상회의에서 전자적 원산지정보 교환시스템(EODES) 작업반을 설치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화상 서명식도 진행했다.

양국 기업이 양국 간 수출입 과정에서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 혜택을 누리려면 기업이 직접 상대국 세관에 해당 물품이 자국에서 나온 것임을 증명하는 원산지증명서를 내야 하는데 이를 양국 관세 당국끼리 전자적으로 교환하는 제도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지난 한해 우리 기업이 베트남 세관에 낸 원산지 증명서는 약 8만5000건이다. 성사 땐 양국 수출기업이 서류 발급·제출의 번거로움을 덜고 통관 절차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짠 뚜언 안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과 전자적 원산지정보 교환시스템(EODES) 작업반 설치하기로 하고 이와 관련한 화상 서명식을 진행하고 있다. 산업부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