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AZ 23만회분 추가공급…고령층 접종 60세까지, 30세 미만 화이자

박경훈 기자I 2021.05.03 19:33:59

65~74세 → 60~74세로 범위 넓혀
당분간 백신 보릿고개 접어들 전망
권덕철 "AZ와 적극 협의 통해 일정 앞당겨"
접종예약 스마트폰 가능 "잔여 백신 알람 제공 계획"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정부가 3일 발표한 ’2분기 백신 접종계획’의 핵심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3만회분 추가 확보, 만 60~64세 등 고령층 확대 접종, 30세 미만 접종 대상자에 대한 화이자 백신 투여 등이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이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부는 지난달 75세 이상 고령층을 시작으로 이달 중 65∼74세로 백신 접종 대상을 확대해나갈 계획이었으나, 60∼74세로 그 범위를 넓혔다. 이에 따른 접종 대상자는 895만명이다. 우선 65∼74세에 해당하는 494만 3000명은 이달 27일부터 지정된 위탁의료기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게 된다. 60∼64세 400만 3000명은 다음 달 7일부터 접종받게 된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감염 시 치명률과 위중증률이 높은 60세 이상 연령층의 1차 접종을 조기에 실시해 고령층에서 감염을 줄이고 중환자 발생을 감소시켜 감염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2분기 접종대상자 중 희귀혈전증 우려로 아스트라제네카 접종대상에서 제외된 30세 미만 사회필수인력·군 장병에 대해서는 6월 중 예방접종센터를 통해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을 실시한다. 다만 5~6월중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백신 이외 추가적인 백신 도입이 있을 경우 해당 백신 사용도 가능하다는 게 방역당국의 설명이다.

(그래픽=이미나 기자)
30세 미만 사회필수인력·군 장병은 화이자 접종

정부는 오는 6월까지 정부 개별계약분 기존 700만회분에서 23만회분을 추가한 아스트라제네카 723만회분과 화이자 500만회,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기준 아스트라제네카 167만회분과 화이자 29만 7000회분 등 총 1420만회분(710만명분)을 공급해 올 상반기 내에 최대 1300만명에 대해 접종을 마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5∼6월 물량이 723만회분으로 조금 늘어났고, 코백스에서 들어오기로 한 물량은 공급 일정들이 거의 확정되고 있다”며 “1차 접종을 최대한 진행한다면 1300만명 정도까지, 또는 그 이상이 접종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추가 물량이 이달 중순부터 들어올 예정이어서 그전까지 당분간 1차 접종은 제한적으로 이뤄지며 백신 보릿고개에 접어들 전망이다. 화이자 백신 역시 2차 접종에 집중하면서 1차 접종은 이달 말부터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다만 구체적인 일정이나 물량, 도입 주기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아스트라제네카 측과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당초 5월 말, 6월 말로 돼 있던 일정을 5월 14일부터 6월 첫째 주까지로 당겼다”면서도 “구체적인 주간 단위의 물량은 밝히지 못하지만 상당한 물량이 들어온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결국 백신 수급 상황에 따라 정부의 접종 목표 달성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본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도입 물량 23만회분 늘어

접종 예약은 고령층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70∼74세(약 210만 5000명)는 이달 6일, 65∼69세(283만 8000명)는 10일, 60∼64세(400만 3000명)는 13일부터 각각 시작된다. 이들 외에 만성 중증 호흡기 질환자 1만 2000명은 오는 27일부터 접종을 받는다. 또 유치원 및 어린이집, 초등학교 1∼2학년 교사 36만 4000명은 이달 13일 사전 예약을 받기 시작해 내달 7일부터 각 위탁의료기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게 된다.

접종 예약은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질병청은 예방접종 사전예약, 일정알림, 예진표 작성, 이상반응 관리 등 접종의 전 과정을 통합해서 관리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 앱 개발도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 질병청은 “잔여 백신이 발생한 경우 사전에 동의한 희망자에게 알림을 통해 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 백신 전쟁

- [속보]코로나19 백신 2차 신규 접종자 10.7만명, 누적 77.6% - 모더나 백신, 젊은 남성 심근염 위험 화이자의 5배 - 강기윤 의원 “코로나 백신 이상반응 지원 위해 2470억원 증액 필요”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