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강릉 산불 발생 7시간만에 진화율 88%.. 현장에는 강우 시작

황영민 기자I 2023.04.11 16:24:19

14시30분 기준 건물피해 71채, 주민 322명 대피
인력 1610명, 장비 107대 투입.. 확산 소강 국면
시속 136km '양간지풍' 피해 키워

강원 강릉지역에 대형 산불이 발생한 11일 강릉시 저동에서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대원들이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강릉=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11일 오전 8시 30분께 발생한 강릉 산불이 발생 7시간여 만인 오후 3시 30분께 진화율 88%를 보이고 있다. 또 오후 4시를 전후로 산불발생 지역 일대에서 비가 내리기 시작하면서 화재 진압 중인 소방당국과 산림청, 강원도 등 관계기관들은 주불 진화에 매진 중이다.

강원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30분 기준 산불발생지역 인근 주민은 총 322명이 대피 중이다. 강원도는 강릉시 아이스아레나에 278명, 사천중학교 25명, 초당초등학교에 19명 등을 분산 대피시켰다.

같은 시각 기준 재산피해 현황은 건물만 총 71채로 집계됐다. 주택 24채와 펜션 8채가 전소됐으며, 주택 16채·펜션 20채·호텔 3개소가 부분 소실됐다. 소실된 산림은 226㏊로 집계되고 있다. 그외 정확한 피해 상황은 완진 후에야 파악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산불 진화에는 1610여명의 지상인력과 107대의 장비가 투입됐다.

이번 산불은 시속 136km로 불어닥친 봄철 태풍급 강풍인 ‘양간지풍’으로 인해 피해가 더욱 커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산불이 발생한 오전 8시 22분께 강르시 연곡면 최대 순간풍속은 초속 26.7m에 달했다. 산불 현장에는 평균풍속 초속 15m, 순간풍속 초속 30m의 강풍이 불었다.

초속 30m가량의 강풍은 시속으로는 136㎞로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동차와 같은 속도다.

산불은 이 같은 위력의 강풍에 소나무가 부러지는 과정에서 전깃줄을 건드려 불씨가 번져 급속 확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강풍은 또 8천L급 초대형 진화 헬기조차 이륙하지 못하게 해 공중 진화마저 무력화시켰다. 한때 초대형 헬기 2대가 이륙했으나 공중에서 느껴지는 최대 순간풍속은 초속 60m에 달해 공중 진화를 포기하고 곧바로 철수했다.

이처럼 초대형 헬기의 발을 묶고 급속 확산한 태풍급 강풍의 정체는 ‘양간지풍’ (襄杆之風) 또는 ‘양강지풍’(襄江之風)이다.

이른바 봄철 태풍급 강풍으로 불리는 양간지풍은 ‘양양과 고성 간성 사이에서 국지적으로 부는 강한 바람’을 일컫는다.

‘남고북저’(南高北低) 형태의 기압 배치가 되면 강한 서풍 기류가 형성된다. 서풍이 태백산맥을 만나 산비탈을 넘을 때 고온 건조해지고 속도도 빨라져 ‘소형 태풍급’ 위력을 갖게 되는데 이 바람이 바로 양간지풍이다.

이날 강릉을 강타한 양간지풍 역시 나무를 부러뜨려 전깃줄을 덮쳐 발화의 빌미를 줬고 산불 초기 진화의 핵심인 헬기를 뜨지 못하게 해 공중진화를 무력화시키는가 하면 ‘비화’(飛火) 현상을 통해 경포 전역을 순식간 연기에 휩싸이게 했다.

강릉 산불 3단계

- 강릉산불 부른 전봇대, 없애면 안되나요?[궁즉답] - 尹대통령-與 전임 지도부 만찬 취소…"강릉 피해 상황 고려" - 尹, 강릉 특별재난지역 선포…"이재민, 피해 복구 지원에 만전"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