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新실크로드 중심` 우즈벡 진출 유망 분야.."농업·자동차·에너지·의료"

양희동 기자I 2019.04.15 11:00:00

대한상의 '국내기업 우즈베키스탄 진출방안 보고서'
우즈벡 진출 유망분야 제시..19일 현지 포럼 개최
삼성전자·현대차·SK이노베이션 등 전문경영인 참여

(자료=대한상의)
[이데일리 양희동 기자] 신(新) 실크로드의 중심인 우즈베키스탄(우즈벡) 진출을 위해 대한민국 기업에게 유망한 분야로 △농업 △자동차 △에너지 인프라 △의료 등이 꼽혔다. 대한상공회의소와 우즈벡상공회의소는 이들 유망 분야의 협력을 모색하기 위해 오는 19일 현지에서 공동으로 비즈니스 포럼을 개최, 삼성전자(005930)현대자동차(005380), SK이노베이션(096770) 등 국내 대기업과 중견기업 전문경영인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5일 ‘국내기업의 우즈벡 진출방안 보고서’를 통해 현지 경제여건과 정책변화를 분석하고, 진출 유망분야를 제시했다. 대한상의 보고서가 지목한 첫 유망 산업은 농업기자재 분야다. 농업은 우즈벡 GDP의 30% 가량을 차지하는 기간 산업으로 현재 우즈벡 정부는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줄어든 ‘목화’를 대신해 ‘과일’로 재배품목을 다변화하는 중이다. 또 온실 재배를 장려하는 등 시설농업을 확대하고 있다. 농업분야 한국의 대(對)우즈벡 수출 1위도 ‘비닐하우스’가 차지했다.

자동차 부품 분야도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다. ITC(International Trade Center)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약 8억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40% 수준이다. 국내 기업이 1990년대 우즈벡에 중앙아시아 최초의 자동차 공장을 건설하기도 했다. 에너지 등의 인프라 건설도 유망하다. 우즈벡은 세계 10위권의 천연가스 생산국이지만, 천연가스 의존도가 약 90%로 지나치게 높고 에너지효율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우즈벡 정부가 ‘재생에너지 발전 및 에너지 효율 개선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전력설비 확충,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효율화 사업 등의 계획이 있어, 이를 활용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국내기업은 우즈벡 기업들과 공동으로 다양한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있고 현재도 ‘타히아타쉬 복합화력발전소’ 등 여러 발전소 건설을 진행 중이다. 이밖에 최근 한국 고위 공무원 출신을 차관으로 임명하고 공공 의료 분야에서 양국 정부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보건의료 분야도 유망하다. 해외에서 수입한 의료기기와 주요 의약품 관세를 면제하는 등 외투기업에 대한 혜택도 많은 점도 유리하다.

대한상의는 우즈벡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19일 우즈벡 타슈켄트 우즈엑스포에서 ‘한-우즈벡 비즈니스 포럼’을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대한상의는 지난 2014년과 2017년에도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윤부근 삼성전자 부회장, 공영운 현대자동차 사장,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 김영섭 LG CNS 사장, 임병연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안재현 SK건설 대표이사 등 자동차, 인프라, 의료, 농업분야 기업인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비즈니스 포럼에서는 양국의 정책 현안과 비즈니스 창출에 대한 방안을 발표하고, 기업들이 현지 파트너십 구축과 시장 정보를 얻기 위한 ‘1대 1’ 상담회도 개최될 예정이다.

강호민 대한상의 국제본부장은 “우즈벡에는 한국 기업이 오래전부터 진출해 장학사업을 펼치는 등 좋은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정부 간 다양한 협력사업도 이뤄지고 있다”며 “이번 양국 정상회담과 비즈니스 포럼이 양국 정부와 기업에게 새로운 협력 관계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자료=대한상의)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