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대의대·병원 비대위 "중증·희귀질환 차질없이 진료"

최오현 기자I 2024.06.14 15:30:38

서울대 의과대·병원 비대위 기자회견
"환자 절망 헤아리지 못해 죄송" 사과
'휴진반대' 의료연대본부엔 협조당부

[이데일리 최오현 기자]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예고했던 무기한 휴진 돌입 3일을 앞두고 중증·희귀질환 환자에게 사과했다. 중증 환자에 대한 진료는 계속한다고 설명하면서도, 이번 휴진으로 의료전달체계를 정상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전체휴진을 예고한 가운데 지난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한 교수가 응급의료센터 앞을 지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비대위는 14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입장을 밝힌다. 서울대병원은 오는 17일부터 무기한 전면 휴진에 들어간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정부를 향한 부르짖음이 서울대병원만을 믿어오신 중증·희귀질환 환자분께 절망의 소리가 될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며 “중증·희귀질환 환자분께 정말 죄송하다”고 전했다.

비대위는 휴진에 대해 “다른 병의원에서도 진료가 가능하거나 진료를 미뤄도 당분간 큰 영향을 받지 않으시는 환자분의 정규 외래 진료와 정규 수술 중단을 뜻하는 것”이라며 “서울대학교병원의 진료가 지금 반드시 필요한 중증·희귀질환 환자분께는 휴진 기간 동안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휴진에 대한 의지는 다시 한번 내비쳤다. 비대위는 “그간 서울대학교병원은 최상급종합병원 임에도 불구하고 공정하지 못한 보상으로 인한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1, 2차 병원과 경쟁하며 많은 경증 환자를 중증·희귀질환 환자와 함께 진료했다”며 “이번 전체 휴진 기간을 시작으로 서울대학교병원은 중증·희귀질환 환자 진료에 집중하는 진정한 최상급종합병원의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위는 서울대병원 노조가 속한 의료연대본부 조합원들에게 협조를 당부했다. 의료연대본부는 앞서 ‘휴진으로 인한 진료 예약 변경 업무를 맡지 않겠다’는 입장을 전한 바 있다. 병원 내에서도 휴진에 대해 직군별 균열이 나타나 셈이다. 비대위는 “휴진 결정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의료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을 위한 것이라는 점을 헤아려달라”며 “함께 환자를 돌보는 동료로서, 국립대병원 노동자로서 올바른 의료체계를 만들고자 하는 교수들의 노력에 함께 해주시기를 부탁 드린다”고 했다.

정부를 향해선 “약속한 대로 전공의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 전문의 중심의 교육수련병원으로 만들어달라”며 “이를 위해 대통령께서 약속하신 재원을 기획재정부로부터 반드시 받아내달라”고 강조했다. 상시 의정협의체 구성에도 속도를 내달라고 요청했다. 비대위는 “1년짜리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설익은 정책을 쏟아내는 대신, 효과와 부작용, 비용을 고려하며 공유자원인 건강보험재정이 고갈되지 않게 신중히 결정해달라”며 “의료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 정부가 함께 모여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상시적 의정협의체’의 구성과 운영을 서둘러달라”고 했다. 이들은 법적으로 설치 근거와 재원 마련 방안이 보장된 협의체 신설을 요구하고 있다. 비대위는 이 같은 논의를 위해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서자고 제안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