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與, 차기 지도부 ‘1인 원톱 체제’…전대 민심 반영은 결론 못내(상보)

김기덕 기자I 2024.06.12 10:56:09

당헌당규 특위, 전당대회 룰 최종 의결
민심 반영 20·30% 두가지 안 압축…비대위 결론
‘대선 1년 6개월 전 사퇴’ 당권·대권 분리도 유지

[이데일리 김기덕 이도영 기자] 국민의힘은 다음달 23~24일께 치러지는 전당대회에서 차기 지도부는 현행과 같이 당 대표 1인 원톱 체제를 유지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선거인단은 기존 당원 100%에서 일반 여론조사비율을 20% 또는 30%를 반영하는 방안 중 하나를 추후에 확정키로 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 개정 특별위원회는 12일 오전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방안을 담은 ‘전당대회 룰’을 최종 의결했다.

여상규 특위 위원장은 “당 대표 등의 선출과 관련해 민심을 반영하는 여론조사결과 반영 비율은 팽팽한 의견 차이로 결론을 못 내리고 ‘8(당심) 대 2(민심)’안과 ‘7(당심)대 3(민심)’안을 모두 비상대책위원회에 올리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오는 13일 당 대표 선출과 관련 두 가지 민심 반영비율 방안을 보고 받고, 최종 결론을 낼 예정이다. 해당 당헌당규 개정안은 추후 상임전국위원회, 전국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여 위원장은 “당 지도체제는 현행 단일대표체제와 부대표를 두는 복수지도체제, 집단지도체제 등을 놓고 논의했지만, 전당대회에 즈음해 짧은 기간 동안 활동한 특위에서 결정하기보다는 새 지도부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해 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다수의견을 따르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특위는 선출직 당직자가 대통령후보자경선에 출마할 경우 1년 6개월 전에 당직에서 사퇴하여야 한다는 당권·대권분리, 역선택 방지 조항 등도 현행대로 유지키로 의결했다.

여 위원장은 “지도체제 변경, 당 대표 결선투표제, 당권대권 분리 문제 등은 논의를 많이 했지만 당장 결론을 내리기에는 부담이 되고 국민과 당원이 의문을 가질 수 있어 새 지도부에 결정을 미루기로 했다”고 말했다.

여상규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 특위위원장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헌 당규 개정 관련 결정사항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