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020년 ‘혁신제품 지정제도’ 도입 이후 1900여개의 혁신 제품을 발굴 및 지정했고 이에 대해 2조8000억원에 달하는 공공구매를 시행해왔다. 김 차관은 “혁신기업의 조달시장 진입과 초기 판로를 지원해왔으며, 이제는 양적 성장에 질적 성장을 더하기 위해 운영과정의 미비점 개선, 기술 차별화가 필요한 때”라고 짚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혁신제품 지정요건 중 기술적 차별성을 평가하는 ‘신규성’ 배점을 기존 10점대 수준에서 20점 이상으로 끌어올려 기술적 우위를 가진 기업의 시장 진출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 현장 수요에 따라 생활밀착형, 지역문제 해결형 제품 등도 지정해 국민의 일상생활 편의를 늘린다.
아울러 유망 혁신제품의 단가계약을 확대 적용해 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등재해 편리한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고, 작년 12억원 규모였던 해외실증을 올해 70억원까지 늘리고, 해외 진출 혁신기업에 대해서는 해외규격 인증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해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이날 올해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의 혁신제품 전체 구매목표액을 전년 대비 13.1%(891억원) 늘린 7689억원으로 책정해 공공 부문이 혁신제품의 시장진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했다.
김 차관은 “혁신제품 공공구매 제도는 조달시장 문턱을 낮추고, 초기 시장 창출에 필요한 중요한 정책”이라며 “모든 관계기관이 혁신제품 제도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새로운 혁신기업 제품 발굴에도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