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리비안, 예상 밑돈 생산량 목표치...주가 급락 (영상)

유재희 기자I 2023.03.02 10:25:02

[美특징주]
세일즈포스, 깜짝실적·자사주매입↑...시간외서 급등
퍼스트솔라, IRA 수혜 본격화에 52주 신고가
노바백신, 계속기업성 의문에 폭락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1일(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지수는 보합권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소폭 오른 반면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각각 0.5%, 0.7% 내렸다. 10년물 국채금리가 작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4%대를 터치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월가에서는 이른 시일내 4.2%를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인사들도 매파성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 총재는 “3월 FOMC회의에서 기준금리 25bp 또는 50bp 인상 모두 열어놓은 상황”이라며 “중요한 것은 점도표(연준 인사들의 기준금리 전망치)를 통해 보내는 신호”라고 말했다. 이어 “정책 경로를 계속 추진할 수 있도록 더 높이는 쪽으로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닐 카시카리는 지난해 12월 최고 금리 수준을 5.4%로 제시한 바 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는 “기준금리를 50bp 인상 후 내년까지 유지할 필요가 있다”며 “우리는 가능한 빨리 인플레 목표치(2%)에 도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특징주 흐름은 다음과 같다.

세일즈포스(CRM, 167.35 ▲2.29% ▲15.79%*)

클라우드 기반으로 고객관계관리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는 세일즈포스가 시간외 거래에서 16% 가까운 급등세를 기록했다. 실적 모멘텀과 주주환원정책 강화가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세일즈포스는 장마감 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14% 증가한 83억8000만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68달러로 시장예상치 각각 80억달러, 1.36달러를 웃돌았다. 또 1분기 매출과 조정EPS 목표치를 각각 81억6000만~81억8000만달러, 1.6~1.61달러로 제시했다. 시장 예상치는 각각 80억달러, 1.32달러에 형성돼 있다.

세일즈포스는 엘리엇과 스타보드, 서드포인트 등 5곳의 행동주의 투자자들이 지분을 매수해 이슈가 된 바 있다. 이를 고려한 듯 자사주 매입 규모를 종전 100억달러에서 200억달러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엘리엇은 세일즈포스 이사회에 이사 후보를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퍼스트솔라(FSLR, 195.68 ▲15.69%)

태양광 패널 업체 퍼스트솔라 주가가 15%대 급등세를 기록,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퍼스트솔라는 지난 28일 장마감 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59.4% 급증한 10억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다. 주당순이익(EPS)은 -0.07달러로 예상치 -0.17달러대비 적자 폭이 크게 적었다. 이번 실적 호조는 인플레감축법(IRA) 시행에 따른 대규모 세액 공제 효과 영향이다.

퍼스트솔라는 또 올해 매출액과 EPS 목표치로 각각 34억~36억달러, 7~8달러를 제시하면서 투자자들의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시장에서는 33억6000만달러의 매출액과 5.2달러의 EPS를 예상했던 만큼 실적 모멘텀이 부각된 데 따른 것이다.

전문가들은 퍼스트솔라가 IRA의 최대 수혜 기업이라며 긍정적 평가를 내놓고 있다.

리비안(RIVN, 15.76 ▼18.34%)

美 전기 트럭 스타트업 리비안 주가가 20% 가까이 급락했다. 올해 전기차 생산량 목표치가 시장 눈높이에 미달한 여파다.

리비안은 지난 28일 장마감 후 4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매출액은 6억6000만달러로 예상치 7억4000만달러에 미달했다. 조정EPS는 -1.73달러로 예상치 -1.94달러보다 양호했다.

리비안은 공급망 이슈가 지속되고 있다며 올해 생산량 목표치로 5만대를 제시했다. 시장에서는 6만대를 생산할 것으로 예상해 왔다.

노바백스(NVAX, 6.86 ▼25.92%)

전염병 예방 백신 개발 제약사 노바백스 주가가 26% 가까이 폭락하며 3년래 최저치로 고꾸라졌다. 실적이 부진했던 가운데 계속 기업으로서의 의구심이 제기된 영향이다.

노바백스는 4분기에 3억6000만달러의 매출액과 2.28달러의 주당순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 3억8000만달러, -1.19달러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회사 측은 “올해 최우선 순위는 지출을 줄이고 현금흐름을 관리하는 것”이라며 “불확실성 속에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성에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