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아듀 '앙투아네트', 10년 노하우 집약한 '그랜드 피날레'

장병호 기자I 2024.02.25 18:50:00

[엄홍현 EMK뮤지컬컴퍼니 대표 인터뷰]
韓 정서로 재창작해 日에 역수출
K뮤지컬 잠재력 보여준 대표작
이번 시즌 끝으로 10년 여정 마침표
관객 눈높이 맞춰 재탄생시킬 것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27일 서울 구로구 디큐브 링크아트센터에서 개막하는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는 10년 전 ‘K뮤지컬’의 잠재력을 일찌감치 보여준 작품이다. 국내 제작사가 해외에서 공연 라이선스를 수입해 무대·의상 등 한국 뮤지컬의 창작 노하우를 덧입혀 해외로 역(逆)수출에 성공한 흔치 않은 사례이기 때문이다.

엄홍현 EMK뮤지컬컴퍼니 대표. (사진=EMK뮤지컬컴퍼니)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가 국내 초연 10주년을 맞아 ‘그랜드 피날레’를 예고하고 나섰다. 10년의 노하우를 총집결한 이번 버전의 마지막 무대다. 최근 이데일리와 만난 공연제작사 EMK뮤지컬컴퍼니(이하 EMK) 엄홍현(51) 대표는 “EMK가 제작한 다른 뮤지컬처럼 ‘마리 앙투아네트’도 10주년 이후 대대적인 변화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엄 대표는 “3~4년 뒤 다시 돌아올 ‘마리 앙투아네트’는 의상, 소품, 무대를 전부 다 교체할 계획”이라며 “이번 공연을 ‘그랜드 피날레’로 정했다”고 말했다.

◇원작 초연한 일본에도 역수출해 성공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 2021년 공연 장면. (사진=EMK뮤지컬컴퍼니)
‘마리 앙투아네트’는 18세기 프랑스 혁명으로 단두대에서 생을 마감한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를 주인공으로 하는 뮤지컬이다. 뮤지컬 ‘모차르트!’, ‘엘리자벳’으로 잘 알려진 독일 작가 미하엘 쿤체, 헝가리 작곡가 실베스터 르베이 콤비의 또 다른 대표작이다.

제목과 창작진만 보면 유럽 뮤지컬 같다. 사실은 그렇지 않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일본 공연제작사 토호가 쿤체-르베이 콤비에게 작품을 의뢰해 제작한 ‘일본 뮤지컬’이다. 작품의 원작 또한 일본 소설가 엔도 슈사쿠가 쓴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다. 토호가 제작한 뮤지컬은 2012년 일본에서 초연했고, 이후 독일 등 유럽에서 공연했다.

EMK는 유럽 공연으로 ‘마리 앙투아네트’를 접한 뒤 작품 라이선스를 수입해 2014년 한국에서 초연했다. 이 과정에서 방대한 스토리를 한국적 정서에 맞게 각색하고 무대, 의상 등을 바꿨다. 여기에 쿤체-르베이 콤비가 새로 쓴 곡을 추가해 ‘재창작’에 가까울 정도로 수정했다. EMK의 ‘마리 앙투아네트’는 이후 토호가 역으로 수입해 2018년부터 일본에서 공연할 정도로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았다. 오리지널 제작사도 EMK가 만든 ‘마리 앙투아네트’의 완성도를 인정한 셈이다.

그럼에도 엄 대표는 이번 공연을 ‘그랜드 피날레’로 결정했다. 빠르게 변화하는 관객 취향을 작품에 반영해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엄 대표는 “한 작품을 10년간 공연하면 아쉬운 부분도 있고 더 발전하면 좋겠다는 부분도 생긴다”며 “관객 후기도 꼼꼼히 찾아보면서 움직이는 관객 취향, 감수성을 작품에 반영하고 있다”고 했다.

◇정치권 논란 이용 ‘노이즈 마케팅’ 부인

엄홍현 EMK뮤지컬컴퍼니 대표. (사진=EMK뮤지컬컴퍼니)
‘마리 앙투아네트’는 그동안 총 3번의 시즌 공연(2014·2019·2021년)을 거쳤다. 객석 점유율 92%를 기록한 흥행작이다. 그러나 일각에선 마리 앙투아네트를 미화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있었다. 시민이 승리한 프랑스혁명을 마리 앙투아네트의 관점으로 다루면서 마리 앙투아네트의 입장을 오히려 옹호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다.

이런 지적에 대해 엄 대표는 “작품 속 마리 앙투아네트는 쿤체 작가의 확고한 생각이 반영된 인물”이라며 “쿤체 작가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공주였던 마리 앙투아네트가 어린 나이에 프랑스에 홀로 오게 돼 서민의 삶과 현실은 알지 못하고 살았다는 걸 보여주고자 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의 재미는 각 등장인물의 관점에 따라 작품에 대한 이해가 달라진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정치권에서 ‘마리 앙투아네트’가 언급된 것과 관련해선 “정치적 의도로 공연을 결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엄 대표는 “뮤지컬은 보통 2년 전부터 작품을 결정하고 공연장을 대관한다”며 “개막 발표 이후 ‘노이즈 마케팅’이 아니냐는 전화도 여러 차례 받았는데, 우리 작품은 정치권의 논란과 무관하다”고 했다.

엄 대표의 최근 고민은 팬데믹 이후 바뀐 관람 문화를 어떻게 대비할 지다. 엄 대표는 “과거엔 관객들이 한 배역에 함께 캐스팅된 배우들의 공연을 빼놓지 않고 보는 ‘N차 관람’을 했는데, 요즘은 꼭 보고 싶은 배우의 공연만 딱 한 번 관람하면서 ‘재관람률’이 줄어들고 있다”며 “그 빈자리를 50~60대 관객, 그리고 해외 관객으로 어떻게 하면 채울 수 있을지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