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작 초연한 일본에도 역수출해 성공
|
제목과 창작진만 보면 유럽 뮤지컬 같다. 사실은 그렇지 않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일본 공연제작사 토호가 쿤체-르베이 콤비에게 작품을 의뢰해 제작한 ‘일본 뮤지컬’이다. 작품의 원작 또한 일본 소설가 엔도 슈사쿠가 쓴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다. 토호가 제작한 뮤지컬은 2012년 일본에서 초연했고, 이후 독일 등 유럽에서 공연했다.
EMK는 유럽 공연으로 ‘마리 앙투아네트’를 접한 뒤 작품 라이선스를 수입해 2014년 한국에서 초연했다. 이 과정에서 방대한 스토리를 한국적 정서에 맞게 각색하고 무대, 의상 등을 바꿨다. 여기에 쿤체-르베이 콤비가 새로 쓴 곡을 추가해 ‘재창작’에 가까울 정도로 수정했다. EMK의 ‘마리 앙투아네트’는 이후 토호가 역으로 수입해 2018년부터 일본에서 공연할 정도로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았다. 오리지널 제작사도 EMK가 만든 ‘마리 앙투아네트’의 완성도를 인정한 셈이다.
그럼에도 엄 대표는 이번 공연을 ‘그랜드 피날레’로 결정했다. 빠르게 변화하는 관객 취향을 작품에 반영해야 한다는 판단 때문이다. 엄 대표는 “한 작품을 10년간 공연하면 아쉬운 부분도 있고 더 발전하면 좋겠다는 부분도 생긴다”며 “관객 후기도 꼼꼼히 찾아보면서 움직이는 관객 취향, 감수성을 작품에 반영하고 있다”고 했다.
◇정치권 논란 이용 ‘노이즈 마케팅’ 부인
|
이런 지적에 대해 엄 대표는 “작품 속 마리 앙투아네트는 쿤체 작가의 확고한 생각이 반영된 인물”이라며 “쿤체 작가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공주였던 마리 앙투아네트가 어린 나이에 프랑스에 홀로 오게 돼 서민의 삶과 현실은 알지 못하고 살았다는 걸 보여주고자 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뮤지컬 ‘마리 앙투아네트’의 재미는 각 등장인물의 관점에 따라 작품에 대한 이해가 달라진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정치권에서 ‘마리 앙투아네트’가 언급된 것과 관련해선 “정치적 의도로 공연을 결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엄 대표는 “뮤지컬은 보통 2년 전부터 작품을 결정하고 공연장을 대관한다”며 “개막 발표 이후 ‘노이즈 마케팅’이 아니냐는 전화도 여러 차례 받았는데, 우리 작품은 정치권의 논란과 무관하다”고 했다.
엄 대표의 최근 고민은 팬데믹 이후 바뀐 관람 문화를 어떻게 대비할 지다. 엄 대표는 “과거엔 관객들이 한 배역에 함께 캐스팅된 배우들의 공연을 빼놓지 않고 보는 ‘N차 관람’을 했는데, 요즘은 꼭 보고 싶은 배우의 공연만 딱 한 번 관람하면서 ‘재관람률’이 줄어들고 있다”며 “그 빈자리를 50~60대 관객, 그리고 해외 관객으로 어떻게 하면 채울 수 있을지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