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美연준 위원들 "장기간 높은 수준 금리 유지해야" 한목소리

방성훈 기자I 2024.05.17 09:38:30

클리블랜드·뉴욕·리치먼드·애틀랜다 연은 총재 연설
조기 금리인하 경계…"확신까지 더 많은 시간 필요"
4월 CPI 냉각에도 "추가 데이터 확인 필요" 입모아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주요 인사들이 한목소리로 인플레이션이 완화하고 있다는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다고 밝히면서 조기 금리인하 전망에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로레타 메스터 미국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 (사진=AFP)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이날 각각 연설, 인터뷰 등을 통해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를 향하고 있다는 확신을 얻기 위해선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하며 금리인하까진 예상보다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메스터 총재는 이날 오하이오주 우스터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연준에) 들어오는 경제 정보에 따르면 그러한(인플레이션이 2%로 향하고 있다는) 신뢰를 얻기까지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이어 “공급망 개선으로 (물가에 대한) 하방 압력이 줄었기 때문에 가격 상승률이 작년보다 느린 속도로 냉각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현재는 인플레이션 경로가 명확해질 때까지 제한적인 입장을 더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덧붙였다.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있다는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얘기다.

메스터 총재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에 참여하지만 6월 말 임기가 만료된다. 그는 “연준의 통화정책이 자리를 잘 잡았다거나 인플레이션 진전이 정체됐다고 말하기엔 너무 이르다”며 금리인상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윌리엄스 총재도 이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통화 정책을 조정할 이유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우리는 가까운 시일 내에 인플레이션이 2%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면서도 “나는 더 큰 자신감을 얻을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는다”고 짚었다.

그는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관련해 “몇 달 동안의 실망스러운 지표 이후 인플레이션 둔화를 확인한 것은 반갑지만 (연준이) 금리인하를 결심하기까진 아직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리를 인하할 정도는 아니라는 얘기다.

바킨 총재도 이날 CNBC에 출연해 “4월 CPI가 좋게 나왔지만 연준이 원하는 수준을 달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공급망이 회복되면서 상품 인플레이션이 크게 감소했다는 점에 주목하며 “인플레이션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올바른 방법으로 2%에 도달하려면 좀 더 걸릴 것 같다. 연준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수요가 더 냉각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4월 인플레이션이 냉각된 것을 환영하며 “인플레이션이 천천히 완화하고 경제 모멘텀이 지속되는 등 (연준의 경제) 전망이 예상대로 전개된다면, 연말에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총재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견해를 표한 것이다. 보스틱 총재는 다만 “수치가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5월과 6월 데이터를 지켜볼 것”이라며 추가 데이터를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