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현대모비스, 5G-V2X 제어기 개발 가속도..이스라엘 반도체 팹리스와 협력

이다원 기자I 2023.08.27 14:00:00

퀄컴이 인수한 ‘오토톡스’서 V2X 반도체 공급
자율주행 4단계 핵심 기술…실시간 소통 가능
완전자율주행 시대 선점 위해 기술개발 속도↑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현대모비스(012330)가 이스라엘 차량용 반도체 팹리스(설계 전문기업)와 손잡고 차량·사물 간(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인다. 이를 통해 자율주행 등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를 빠르게 선점하겠다는 구상이다.

현대모비스와 차량용 반도체 팹리스 오토톡스 로고. (사진=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는 이스라엘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오토톡스(Autotalks)와 협력해 5G 기반 V2X 통합제어기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27일 밝혔다.

오토톡스는 차량용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으로 V2X 전용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5월 퀄컴이 자회사 퀄컴테크놀러지스를 통해 인수했으며 이후에도 인피니언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협력 중이다.

현대모비스는 오토톡스와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하고 5G 모듈과 V2X 기술을 융합한 텔레매틱스 신제품으로 자율주행·커넥티드카 등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점에 나설 계획이다. 텔레매틱스는 차량에서 무선통신을 활용해 주행 중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하반기부터 양 사는 5G 기반 V2X 국제표준 최신 사양에 맞춘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현대모비스 통합제어기에 오토톡스가 반도체를 공급하는 형태다.

이미 현대모비스는 자체 개발한 차량용 5G 통신 모듈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현대모비스는 통신칩·메모리·RF(무선주파수)회로·GPS를 결합해 5G 모듈을 만들었다.

현대모비스는 내달 독일 뮌헨에서 열릴 ‘IAA 모빌리티 2023’에서 관련 기술을 공개하며, 내년에는 글로벌 고객사를 대상으로 마케팅 활동도 펼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 자율주행 최적화 텔레매틱스 기술 개발 가속

현대모비스의 궁극적 목표는 이를 기반삼아 원격자율주행(자율주행 4단계) 시장에 최적화한 텔레매틱스 통합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5G 기반 V2X 통합제어기는 기존 LTE 방식과 달리 차량-차량, 차량-시설 사이의 대용량·실시간 정보 전달을 가능케 한다. 차량 스스로 주행 환경을 판단하고 제어해야 하는 완전자율주행 상황에 꼭 필요한 핵심 기술인 이유다. 이동 중에도 주변 환경과 데이터를 고속으로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5G 기반 V2X 통합제어기를 활용하면 안전사고 역시 줄어들 수 있다. 현재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의 경우 차량에 장착한 센서가 주변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알려주는 데 그친다.

하지만 5G 기반 V2X 통합제어기를 활용하면 사각지대를 영상으로 실시간 스트리밍해 차량 내부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직진 신호로 바뀌어도 직각 방향에서 무리하게 진입하는 차량을 교차로 카메라가 중계하거나, 우회전 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나 전방 정체 상황을 차 안에서 실시간 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이스라엘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오토톡스와 협업해 5G 기반 V2X 반도체를 개발한다. 도로 위 자율주행 차량이 주변 자동차, 시설 등과 정보를 주고 받으며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사진=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선보일 5G-V2X 통합제어기는 납작한 형태로 만들어져 차량 외부 디자인도 개선할 수 있다. 현재 쓰이는 텔레매틱스제어기(TCU)는 차량 뒷면에 부착하는 샤크안테나 형태다. 이를 보이지 않게 숨길 수 있어 심미적인 측면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원격자율주행 플랫폼 개발도 병행하며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지난해 이스라엘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토피아(Ottopia)와 파트너십을 맺고 원격지원 솔루션 개발에 돌입하면서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차량용 통신표준이 1년 단위로 새로 제정되며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며 “양사 모두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전략적인 파트너십 관계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