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총 "스타트업 3곳 중 2곳은 규제 애로 경험…개선해야"

공지유 기자I 2024.06.06 12:00:00

'스타트업 규제 및 경영환경 실태조사'
절반은 샌드박스 불만족…"처리기간 길어"
경총 "성장 단계별 지원 강화·규제 개선해야"

[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스타트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스타트업 규제 및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64.3%가 규제로 인한 애로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자료=한국경영자총협회)
최근 가장 큰 경영상 애로에 대해 물은 결과 ‘투자 재원 축소, 자금 조달 및 관리의 어려움’이라는 응답이 71.3%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신기술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법률·제도’라는 응답이 44.7%로 높았다.

300개 스타트업 중 절반 이상인 54.7%는 신기술을 활용한 신제품 및 서비스가 출시될 때 일정 기간 규제를 면제·유예하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대해 불만족한다고 답했다. 만족한다는 응답은 19.7%에 그쳤다.

규제 샌드박스 제도에 불만족하는 기업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신청 후 승인까지 행정처리기간이 길다’는 응답이 61.6%로 가장 높았다. ‘규제 면제·유예 기간이 최대 4년으로 짧다’는 응답이 51.8%, ‘지켜야 하는 부가조건이 많다’는 응답이 44.5%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 개선이 시급한 규제 분야는 ‘진입 규제(등록·허가, 기존 업역 체계의 기준·요건 등)’라는 답변이 49.7%, ‘노동 규제(임금, 근로시간, 노사관계 등)’라는 답변이 49.0%로 높게 나타났다.

스타트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응답 기업의 82.0%가 ‘성장 단계별 정부 지원금 및 융자 지원 확대’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의 과감한 폐지·개선’이라는 응답이 53.3%로 집계됐다.

김재현 경총 규제개혁팀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당당하게 경쟁할 수 있는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기 위해 성장 단계별 정부 지원책을 더 강화하고,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를 과감하고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