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달러 강세 압력 단기간 이어져…환율 리스크 헷지 필요”

원다연 기자I 2024.06.26 07:52:08

“원·달러 환율, 지수 변동성과 상관관계 높아져”
"변동성 회피·상쇄 업종에 관심 가져야"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달러 강세 압력이 단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증시 투자자들의 환율 리스크에 대한 헷지가 필요하단 분석이 나왔다.

강대석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6일 보고서를 통해 “환율 방향성이 증시에 부정적인 변동성을 충분히 야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돼 리스크를 일부 헷지하거나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미국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그간 주변국인 일본의 엔화나 중국의 위안화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였던 와중에 이전 고점대비 레벨 관점에서는 주변국 중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증시 관점에서 달러 자체의 방향에 대한 우려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달러 인덱스의 추가 강세는 국내 증시의 상대적 부진을 다시 심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강 연구원은 “달러 인덱스의 방향성 측면에서는 이번주 예정된 미국 2024 대선 1차 토론이나 프랑스 조기 총선 1차 투표와 같은 이벤트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구글 트렌드 데이터를 참고하면 미국 대선에 대한 글로벌 검색량은 6월말~7월초를 기점으로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는데 본격적으로 미국 대선 과정에 대해 반영하기 시작할 것이라는 의미”라고 밝혔다.

또 “극우정당의 지지율 상승으로 ‘예상 밖’ 조기총선이 예정된 프랑스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달러 인덱스 내 유로화 비중이 가장 크고, 금융시장이 싫어하는 ‘불확실성’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유럽중앙은행(ECB)의 6월 금리 인하가 거의 기정사실화되는 국면에서도 유로화는 오히려 달러 대비 완만한 강세였음을 감안하면, 금리 차에 대한 우려는 4월 이전에 이미 반영된 이슈로 볼 수 있다”며 “현재로서는 정치적 이슈의 영향이 주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강 연구원은 “통상적으로 원·달러 환율은 외국인 투자자의 순매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외국인 순매수보다 지수의 변동성과 더 뚜렷한 상관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그렇기 때문에 변동성을 회피하거나 상쇄해 줄 수 있는 업종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그는 “지수 대비 베타가 낮으면서 변동성 지수와 역의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업종에 통신, 필수소비, 유틸리티와 같은 전형적인 방어 업종 이외에도 금융, 화장품·의류, 호텔·레저와 같은 소비재도 포함된다는 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