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 강세 덕분에…

조선일보 기자I 2007.03.12 08:40:23

수출 中企 모처럼 숨통 트여 “850원까진 올라야 하는데…”
아직 힘겹다는 기업 더 많아 경쟁력 반영될지는 두고봐야

[조선일보 제공] “760원까지 갔던 100엔당 원화 환율이 820원까지 올라갔으니 그래도 다행입니다. 그렇지만 아직은 ‘언 발에 오줌누기’ 수준입니다.”

자동차용 고무부품을 수출하는 성동테크 도진희 전무는 100엔당 원화환율이 780원일 때 엔화로 결제받은 1500만엔을 최근 환전해 600만원 정도 이득을 봤다고 말했다. 환율이 820원대까지 올라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손해를 아주 조금 만회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끝간 데 없이 약세를 보이던 엔화가 지난주 초 모처럼 급등하면서 수출 중소기업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경제전문가들은 “엔화 가치가 더 떨어지지는 않고 약간 오를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가격 경쟁력에 여전히 신경써야 한다는 얘기다.


◆“숨 돌릴 정도… 100엔당 850원은 돼야”=지난 2월 100엔에 766원까지 떨어졌던 엔화가 지난주 초 820원대까지 상승하자 대일 수출기업들 사이엔 한때 훈풍이 불었다. 재생 프린터용 드럼을 생산하는 백산OPC 관계자는 “전체 매출 중 30% 정도가 대일(對日) 수출인데 770원까지 갔던 100엔당 원화 환율이 800원대만 돼도 단가 인상 효과가 있다”면서 “작년 엔화 환율 하락으로 떨어졌던 영업이익률이 상당 부분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엔화 환율이 10원만 올라도 평균 1%의 매출 증대 효과가 있고, 그만큼 이익도 늘어날 것이라는 얘기였다.

그러나 아직도 견디기 어렵다는 어려움을 호소하는 회사가 더 많다. 생활용품 판매회사인 H사 임원은 “2005년에서 작년 사이 엔화 환율이 20~25% 떨어졌으니 500원에 팔던 게 사실상 400원이 된 셈”이라며 “최소한 850원대까지는 갔어야 하는데 엔화 상승세가 주춤해 불안하다”고 말했다. 무역협회가 작년 10월 대일(對日) 수출 기업 30여 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에서도 희망 환율은 100엔당 850~900원대로 집계됐다. 무역협회 신승관 박사는 “원체 떨어진 상태에서 올라가서 그렇지 800원대로 들어선 것은 한계 상황을 겨우 모면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820원대만 유지돼도 상당한 효과…경쟁력 더 키워야=한국의 주력 업종인 전자, 자동차 쪽에서는 엔화 환율 변화를 주목하면서도 당장 변화는 크지 않을 것이라 보고 있다. 삼성전자의 한 임원은 “전자산업의 경우, 주력 제품인 반도체, 정보통신 쪽에서 일본 부품 의존도가 높아 엔화 가치 상승이 꼭 득(得)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일본 차와 해외 시장서 경쟁해야 하는 자동차 산업은 엔화 가치 상승에 따른 경쟁력 향상 효과로 나타날 수 있다. 한 기아차 임원은 “환율 리서치 기관에 따르면 달러가 연내 1000원까지, 엔화도 동반 상승 가능성이 있어 현대·기아차에 유리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장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분석도 있다. 현대차의 한 고위임원은 “환율의 등락은 단기적인 요인일 뿐, 전 세계 자동차 수요의 트렌드와 환경·기술 변화에 얼마나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가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 서성문 연구위원은 “엔화 가치가 2년간 20% 이상 떨어졌던 것에 비해, 바닥 대비 5% 가까이 오르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부분”이라면서도, “일본 자동차기업의 체질이 워낙 강해, 엔화 가치가 더 올라도 수출 개선 효과는 상당한 시차를 두고 반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