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운용사는 AI 전쟁…쪼개고 더하고 ETF 차별화에 '올인'

이용성 기자I 2024.06.13 05:25:00

AI에 힘주는 운용사들, 빅테크 ETF 라인업 구축
AI칩·온디바이스·커버드콜 등 줄줄이 상장
"서비스·소프트웨어로 확대 전망…전략 다변화"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올해 글로벌 증시의 화두로 떠오른 인공지능(AI)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자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한 자산운용사들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그동안은 단순하게 AI 관련 빅테크 기업을 담아 ETF를 구성하는 상품을 시장에 선보이는 데 그쳤다면 최근에는 차별화한 AI ETF를 선보여 투자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겠다는 것이 목표다. 이에 AI 사업을 세분화해 ETF 상품을 구성하는가 하면 커버드콜 전략을 결합한 상품을 출시하는 등 운용사들의 AI ETF 공략 전략도 다양화하고 있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AI 관련 열풍에 ETF 상품이 보다 세분화·다양화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운용사들은 엔비디아나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AI 관련 글로벌 빅테크를 최대한 많은 비중으로 담아 AI ETF 라인업을 일단 구축하는데 그쳤지만, 최근 들어 반도체와 소프트웨어(SW) 등 AI 산업을 분류해 그에 특화된 기업으로만 상품을 구성하는 등 상품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추세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이달 ‘ACE 엔비디아 밸류체인 액티브’, ‘ACE 마이크로소프트 밸류체인 액티브’, ‘ACE 구글 밸류체인 액티브’, ‘ACE 애플 밸류체인 액티브’를 출시했다. 이미 엔비디아와 TSMC, ASML 등에 투자하는 ‘ACE 글로벌반도체TOP4 Plus SOLACTIVE’를 갖춘 한투운용은 이번에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큰 4대 빅테크를 중심으로 그들과 동반 성장할 밸류체인 기업을 담은 상품으로 차별화를 꾀했다. 반도체와 SW 등 특정 분야를 골라 집중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들을 공략하겠다는 목표다.

신한투자자산운용도 올해 ‘SOL미국 AI소프트웨어’, ‘SOL 미국테크TOP10’과 ‘SOL 미국테크TOP10인버스(합성)’를 각각 선보이면서 AI ETF 라인업을 넓혔다. 또한, 이에 더해 AI칩 설계의 원천기술을 보유한 소수의 글로벌 AI 칩메이커 기업들만 따로 뽑아 ‘SOL 미국 AI반도체 칩메이커’도 꾸리면서 라인업을 세분화했다.

국내 AI 관련 기업은 물론 글로벌 AI 기업들을 담은 ETF 상품을 다수 갖춘 업계 1~2위인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도 새로운 시도에 나서는 모습이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5월 ‘Kodex 미국AI테크TOP10+ 15%프리미엄’을 상장했다. 이 상품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 애플 등의 비중을 높이고, 커버드콜(기초자산을 매입하고 콜 옵션을 매도) 전략을 더한 것이 특징으로, 글로벌 AI 기업의 높은 수익률과 함께 매달 안정적인 배당 수익까지 챙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도 지난 1월 엔비디아, 애플 등을 담고 커버드콜 전략으로 연간 10%대의 배당 수익을 목표로 하는 ‘TIGER 미국테크TOP10+10%프리미엄 ETF’를 시장에 내놓았다. 지난 4월에는 퀄컴과 ARM의 합계 구성 비중을 30% 넘게 구성한 ‘TIGER 글로벌온디바이스AI’를 업계 최초로 상장하기도 했다.

운용업계가 이처럼 AI 관련 ETF 상품 구성을 다양화하고 차별화 전략을 도입하는 것은 AI ETF 시장을 잡는 것이 곧 ETF 전체 점유율을 높이는 것으로 이어진다는 분석에서다. 경기 침체의 우려 속에서도 AI 관련 산업의 성장에 관련해서는 이견이 없는 상황으로, 반도체부터 데이터센터 등 AI 산업에 돈이 모여들고 있기 때문이다.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생소했던 AI라는 키워드가 이제 투자자들에게 많이 각인된 상황에서 앞으로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전략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올해부터는 AI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쪽에서 투자자들의 반응을 얻어야 한다”며 “지금까지는 AI산업이 B2B(기업 간 거래)에 머물렀지만, 앞으로 B2C(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로 전개될 전망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