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e주말] 연풍새재 옛길 따라 떠나는 조령산 야생화 생태여행

강경록 기자I 2015.06.06 06:23:00
수옥폭포에서 사진을 찍는 여행객들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백두대간 중 하나인 조령산(1017m)은 산림이 울창하고 암벽 지대가 많아, 기암절벽과 어우러진 산세가 아름답다. 충북 괴산과 경북 문경의 경계로, 과거 보러 가는 선비나 보부상이 넘던 이화령과 문경새재 3관문인 조령관이 있다. 조령관, 조곡관, 주흘관으로 이어지는 문경새재길은 문경 조령 관문(사적 147호), 문경새재(명승 32호) 등이 자리 잡아 역사적으로 중요하고 경치도 아름다운 곳이다.

그중 조령관은 충북 괴산의 경계인데도 문경새재 하면 경북 문경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 예부터 괴산 사람들은 조령관을 넘어 한양으로 향하는 소조령까지 8km를 연풍새재로 불렀다. 이곳은 문경새재가 유명해지면서 소리 없이 잊혀갔다. 하지만 최근 괴산군이 조령산자연휴양림 입구부터 조령관까지 1.5km를 연풍새재 옛길로 복원, 옛길의 역사뿐만 아니라 숲과 야생화 등 자연이 어우러진 길로 거듭났다.

연풍새재 옛길과 조령관을 거쳐 조령산자연휴양림으로 내려오는 코스는 가볍게 걸으며 야생화를 즐길 수 있는 숲길이다. 휴양림 내 자리한 백두대간생태교육장까지 둘러보면 최고의 생태 여행이 된다. 조령관에서 신선암봉, 조령산 정상으로 가는 산행 코스도 있지만, 가파르고 바위가 많아 등산객이 주로 이용한다.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의 전경


연풍새재 옛길 곳곳에는 은대난초, 산딸기꽃, 둥굴레와 비슷한 죽대, 민백미꽃, 애기똥풀 등 다양한 야생화가 피어 계절을 음미하기 좋다. 제철을 맞은 천남성도 흔히 만난다. 천남성은 뿌리와 덩이줄기가 약재로 쓰이기도 하지만, 조선 시대에는 사약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조선 숙종 때 장희빈이 사사될 때도 천남성이 쓰였다고 한다.

20분 정도 오르면 하늘이 트이면서 조령관에 이른다. 백두대간 조령 표석이 우뚝 서 있다. 북으로는 월악산과 소백산, 남으로는 속리산으로 백두대간이 이어진다. 조령약수 방면으로 신선암봉과 조령산 정상으로 가는 등산로가 있다. 등산로를 따라 잠시 오르니 큰애기나리가 보인다. 한 뼘쯤 자라다 비스듬히 눕는 애기나리와 달리 큰애기나리는 무릎 높이까지 자라고, 5월이면 연한 녹색 꽃이 수줍게 피어난다. 여리고 예쁜 애기나리보다 크게 자라서 큰애기나리라고 부른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고 한다.

참꽃마리는 이름이 예쁘다. ‘참’은 모양이나 품질이 더 좋은 것을 뜻하는 접두사고, 꽃이 피기 전에 꽃줄기가 달팽이 모양으로 도르르 말려 꽃말이에서 꽃마리가 되었다. 즉 참꽃마리는 꽃마리 가운데서 으뜸이다. 꽃대가 펴지고 올라가면서 꽃이 피는데, 이름만큼이나 앙증맞고 예쁘다.

벌깨덩굴도 서서히 기지개를 켠다. 지금은 오므리고 있지만, 입이 큰 물고기가 입을 벌리는 모양으로 자주색 꽃이 층층이 피어난다. 벌깨덩굴은 꽃이 지면 줄기가 길게 자라면서 덩굴처럼 비스듬히 뻗고, 벌을 불러 모으기 때문에 밀원식물로도 유용하다.

하트를 닮은 커다란 잎 아래 자줏빛 꽃을 품고 숨어 있는 족도리풀도 만난다. 캥거루가 새끼를 주머니에 넣어 보호하듯, 잎이 꽃을 보호하는 모양새다. 꽃이 여인들이 쓰는 족두리를 닮아서 붙은 이름이다.

애기똥풀


조령산자연휴양림으로 내려가는 길가에 조릿대 꽃이 만발했다. 조릿대는 등산로에서 자주 만나는 볏과 식물로, 대나무처럼 꽃이 피면 죽는 특성이 있어 꽃을 보기가 쉽지 않다. 조릿대는 예부터 유용하게 쓰였다.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며 만든 복조리의 재료가 조릿대다. 섣달그믐이면 야광귀가 신을 훔쳐 가는데, 조릿대로 만든 복조리를 걸어두면 밤새 복조리의 올을 세다가 새벽닭이 울어 도망간다는 전설이 있다. 조릿대 잎은 울화병이나 해열, 기침, 가래 등에 효능이 있어 약으로 쓰인다. 6월에는 조령산 일대에 다양한 야생화가 피어난다. 하늘말나리, 노루오줌, 쥐오줌풀, 풀솜대 등이 대표적이다.

조령산자연휴양림에는 백두대간생태교육장이 있다. 백두대간의 역사와 문화, 생태 등을 알아볼 수 있는 곳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산맥은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개념이며, 조선 시대 실학자 신경준의 《산경표》에 따른 ‘백두대간’ ‘정맥’이 바른 표현이다. 조령산자연휴양림 숙박객은 산에서 나는 목재, 솔방울 등을 이용한 만들기 체험을 무료로 할 수 있다.

조령산자연휴양림에서 내려오면 높이 20m에 이르는 수옥폭포를 만난다. 3단으로 떨어지는 폭포가 깊은 소를 이루다가 넓은 암반을 흘러 빠져나간다.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 때 이곳으로 피신했다는 이야기가 전하며, 폭포 입구에는 1711년 연풍현감 조유수가 세웠다 전해지는 수옥정이 서 있다.. 수옥폭포와 좌우로 울창한 숲, 푸른 하늘이 어우러져 장관이다.

수옥폭포에서 2km 남짓 떨어진 도로변에는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보물 97호)이 있다. 나란히 앉은 두 부처가 새겨졌다는 뜻이다. 높이 12m 암벽에 새겨진 마애불은 근엄하면서도 인자한 얼굴이다.

이곳에서 1km 남짓 가면 괴산한지체험박물관이 있다. 조령산이 바라보이는 넓은 터에 ㄷ자 건물을 세우고, 내부에는 한지전시실, 공예실, 체험실, 강당 등을 갖췄다. 한지전시실에서는 한지의 역사와 제조 과정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닥나무 채취부터 수많은 과정을 거쳐 탄생하는 한지의 제조 과정은 경이로움 그 자체다. 전시관 반대편에는 공예실과 체험실이 있다. 전통 한지 뜨기, 야생화 한지 뜨기, 한지 등이나 필통, 과반 등을 만들어보는 한지 공예 체험이 가능하다.

속리산국립공원 입구인 보개산 자락에는 각연사가 있다. 신라 법흥왕 때 유일대사가 창건한 천년 고찰이다. 까치들이 대팻밥을 물고 날라 연못을 메우자 광채가 났다. 들여다보니 석불 한 기가 있어 연못을 메우고 그 자리에 각연사를 지었다. 깨달음이 연못 속의 부처님에서 비롯되었다는 뜻이다. 경내에는 오래전 절집을 이루던 석재나 부도, 석등의 지붕돌 등이 있어 절집의 역사가 느껴진다. 괴산군청 문화관광과 043-830-3452.

연풍새재 옛길의 참나무와 소나무가 어우러진 숲


◇여행메모

▷당일 여행 코스= 조령산 야생화 탐방(연풍새재 옛길-조령관-조령산자연휴양림)→백두대간생태교육장→수옥폭포→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괴산한지체험박물관

▷1박 2일 여행 코스= 산막이옛길→각연사→쌍곡구곡→화양구곡→조령산자연휴양림→(숙박)→조령산 야생화 탐방(연풍새재 옛길-조령관-조령산자연휴양림)→백두대간생태교육장→수옥폭포→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괴산한지체험박물관

△가는길

▷버스= 서울-현리,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5회(08:15~17:36) 운행, 약 2시간 10분 소요. 현리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에서 설피밭·꿩바치·밤골 방면 농어촌버스 이용, 진동2리 정류장 하차, 하루 3회 운행(06:20~17:20) 도보 약 3km 거리에 점봉산생태관리센터.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www.ti21.co.kr

▷버스=서울-괴산,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22회(06:50∼20:10) 운행, 약 2시간 소요.

괴산시외버스공용터미널에서 수안보행 버스 하루 8회(06:30~18:10) 운행, 신혜원에서 하차, 조령산자연휴양림까지 도보로 30분 소요

▷자동차= 중부내륙고속도로 괴산 IC→괴산교차로에서 수안보 방면 좌회전→수안보교차로에서 문경 방면 3번 국도로 우회전→은정교차로에서 조령관문 방면으로 좌회전→조령산자연휴양림

△잠잘곳= 조령산자연휴양림(연풍면 새재로, (043)833-7994, http://jof.cbhuyang.go.kr/main.asp), 조령산숲속의펜션(연풍면 수옥정길, (043)833-0795, www.joeunhouse.co.kr), 마운틴밸리휴펜션(연풍면 수옥정길, (043)833-7733, www.mhue.kr)

△먹을곳= 조령산숲속의펜션(더덕구이정식, 연풍면 수옥정길, (043)833-0795, www.joeunhouse.co.kr), 거기찻집(송이칼국수, 연풍면 새재로, (043)833-2877), 조령산자연휴양림식당(연풍면 새재로, (043)833-5689)

△주변 볼거리= 산막이옛길, 화양구곡, 선유동계곡, 괴산 홍범식 고가, 고산정, 제월대

조령관에서 조령산자연휴양림으로 내려가는 산책로
조령산자연휴양림의 숲속의집


6월에 꽃을 피우는 꼬리진달래
노린재나무꽃
민백미꽃
벌깨덩굴
은대난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