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여전히 '장기채 ETF' 담는 일학개미…이번엔 웃을까

김인경 기자I 2024.06.18 05:00:00

최근 한달간 미 장기물 엔화 헤지 ETF 400억 담아
헤지 안되는 장기물 ETF '2255'도 40억 사자
美 FOMC 이후 기대감에도…"올해는 고금리" 지적도
반도체 소부장 순매수 속 日 경기 회복 기대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일학개미들이 미국 장기채 상장지수펀드(ETF)를 여전히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내년 4회의 금리인하를 하겠다고 밝힌 만큼, 장기채 가격 상승(채권 금리 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최근 한 달(5월15~6월14일)간 일학개미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아이셰어즈 20년 이상 미국채 엔화 헤지(ISHARES 20+ YEAR US TREASURY BOND JPY HEDGED) ETF’였다. 한 달 사이 일학개미는 이 종목을 무려 2937만9957달러(405억원) 담았다. 일본 주식 중 국내 투자자들의 보관금액 1위인 이 상장지수펀드는 미국 금리인하 시기를 노리는 개미들로 올해 내내 인기를 모으는 종목이다.

눈길을 끄는 것은 ‘2255’의 등장이다. 일학개미는 최근 한 달간 2255 ETF를 303만 2588달러(41억원) 담았다. 이 ETF 역시 미국의 20년 이상 장기채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다만 달러·엔 헤지가 되어 있지 않은 환 노출 상품이다.

미국의 금리인하 시기가 지연되면서 어쩔 수 없이 물타기를 하는 개인투자자들 역시 적지 않지만 소비 둔화를 감안하면 늦어도 올해 3~4분기에는 첫 금리인하가 이뤄질 것이라는 판단 속에 개미들의 매수세는 이어지고 있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의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발언은 표면적으로는 매파적이었지만 점도표 자체보다는 물가에 더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고, 비둘기적 요소도 혼재했다”면서 “연내 금리 1회 인하라는 마지노선을 확인했지만 인하 시점이 느려질지라도 내년 4차례의 인하 가능성이라는 속도감을 확인한 이상, 이번 FOMC를 마냥 악재로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래픽=문승용 기자)
다만 미국 장기채의 가격이 오르려면, 결국 금리 인하라는 직접적인 조치가 필요한 만큼 올해까진 고금리 환경이 이어질 것이란 지적도 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가 내려간다면 새로운 접근법을 시장에 적용해야 하겠지만 FOMC 결과를 고려하면 당분간 시장 대응에 변화를 줄 필요가 없다”면서 “올해 고금리 환경이 지속될 것이란 주식시장의 기본 가정은 공고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장기채 투자자들이 다시 시장을 기웃거리는 가운데 일본 반도체 기업을 향한 러브콜도 이어졌다. 특히 일학개미가 집중하는 종목은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종목이었다. 일학개미는 최근 한 달 사이 반도체 소재기업 어드반테스트를 382만달러(52억원) 담았다. 일본 반도체 테스트 장비 제조업체 어드반테스트가 생산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테스터는 거의 ‘독점’에 가까울 정도로 시장 점유율이 높다. 도쿄일렉트론도 일학개미가 한 달 사이 246만달러(33억원) 순매수한 종목이다. 이 종목은 세계 4대 반도체 장비업체로 꼽히고 있다.

시장에서는 장기물 ETF에 대한 투자자들의 사랑과 별개로 일본 증시의 강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들의 유입으로 유통이 살아나고 있고 임금 인상에 따른 가계 소비 증가도 기대되기 때문이다. 김채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연말로 갈수록 일본 기업들이 실적을 상향 조정할 가능성이 높은데다 일본은 현재 금융 완화 정책을 유지하면서 정책 정상화를 향해 밟아가고 있다”면서 “경기가 과거와는 다르게 좋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