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이어 韓中 뱃길도 열렸다…이용객 200만명 찍을까[바다이야기]

공지유 기자I 2023.08.12 08:00:29

중국 위해항에서 여객 100명 태우고 이날 입항
2019년 연간 200.4만명 이용…이용객 회복할까
크루즈 관광도 청신호…"지역경제 단비 역할 기대"

[세종=이데일리 공지유 기자] 코로나19 이후 끊겼던 한국과 중국 뱃길이 다시 열리면서 국제여객선 연간 이용객 200만명을 다시 돌파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중국의 한국 단체관광이 허용되면서 정기 여객선뿐 아니라 크루즈 관광객도 빠르게 늘 것으로 기대된다.
한중 국제여객선 여객운송 재개를 하루 앞둔 11일 오후 인천시 연수구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에서 관계자들이 운송 재개를 준비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화물만 운송 중이던 한중 국제여객선의 여객운송 재개는 3년 7개월 만이다.(사진=연합뉴스)
12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전날 중국 위해항에서 여객 100여명을 태운 여객선 뉴그랜드피스호가 이날 오전 평택항으로 입항한다.

평택항을 포함해 인천한, 군산항과 중국 위해, 청도, 단동, 연태, 대련, 석도 등 중국 11개항을 연결하는 15개 한·중 국제여객항로는 매년 많은 여객들이 이용하며 각 나라를 찾았다. 코로나19에 따른 여객운송 중단 이전인 2019년 연간 약 200만명의 여객들이 이들 항로를 이용했다.

그러다가 지난 3월부터 한·중 여객선 정상화 논의가 시작됐다. 해수부는 지난 3월 15개 국제여객항로의 여객운송을 정상화하겠다고 밝히고 특별 안전점검, 설비 관리상태 등을 점검해 왔다. 이후 5개월 만인 이날부터 평택항을 시작으로 15개 항로의 운송이 순차적으로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뿐 아니라 일본 등 다른 나라와의 뱃길도 하나둘 정상화됐다. 해수부는 지난해 8월부터 동해항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 간의 국제여객선 운항을 정상화했다. 이어 지난해 10월 말부터 부산항과 후쿠오카·오사카 등 한-일 국제여객선 운항도 정상화해 지난해 약 1만9000명의 승객들이 이들 노선을 이용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한·일, 한·중, 한·러 여객선 이용객은 총 296만9000명이다. 이 중 절반 이상인 200만명이 한·중 여객선 이용객이다. 한·일 여객선이 93만3000명, 한·러가 3만4000명을 각각 기록했다. 특히 한·중 국제여객선 이용객은 2016년 152만4000명, 2017년 126만7000명, 2018년 150만명에서 2019년 200만4000만명으로 크게 늘었다.

앞서 지난 3월 한·중 국제여객선 정상화 방침이 발표됐지만, 한국과 중국의 외교 관계 경색 등 영향으로 4개월 동안 실제 운송에는 나서지 못했다. 그러다가 여객선 운항 재개 소식에 이어 중국의 한국 단체관광이 허용되면서 관광 활성화와 내수 회복에도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11일 오전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출발하는 크루즈선 53척이 제주도에 기항을 신청하는 등 크루즈 관광 역시 활성화할 전망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한·중 여객운송 재개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은 여객선사들과 지역경제에 단비가 될 것”이라며 “국제여객선과 터미널도 수시로 점검하는 등 여객의 안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