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경기침체 속 구조조정 명암..인력유출 가속화 악순환 막아야

성문재 기자I 2016.01.05 06:00:00

조선·중공업·건설·전자·금융 등 전방위 구조조정
핵심인재 퇴사, 조직분위기 와해 등 손실 불가피
인력유출 가속 악순환 우려.."잔류인력 관리 중요"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 많은 기업들이 구조조정을 진행했거나 추진중이다. 특히 올해는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기업 구조조정 작업이 보다 가속화할 전망이다.

중국의 인력 빼가기가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전통적인 제조업을 넘어 디스플레이, 반도체, 항공, 방송 등 고도의 기술과 노하우가 필요한 다양한 산업군으로 확대된 상황에서 인력유출이 더욱 가속화해 장기적으로 기업 경쟁력이 약화하는 악순환이 우려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업황 부진의 늪에 빠진 철강, 조선, 중공업 등 제조업종을 비롯해 건설·정유·인터넷 업계, 금융권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있는 것이 최근 구조조정의 모습이다.

두산인프라코어(042670)는 지난달 희망퇴직 신청을 받으면서 신입사원을 포함한 국내 사무직 3000여명 전원을 대상으로 해 따가운 눈총을 받았다. 삼성엔지니어링(028050)은 사우협의회 제안으로 1년간 무급순환휴직 제도를 도입했다. 현대중공업(009540), 대우조선해양(042660), 삼성중공업(010140) 등 조선 빅3도 임원 감축과 희망퇴직을 진행했다. 삼성전자(005930), 삼성물산(028260), 삼성생명 등 삼성그룹 주요 계열사는 물론 한국GM, KT(030200), 한국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KB국민은행 등도 저마다 인력 효율화 작업에 나섰다.

경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기업이 가장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총인건비의 절감이다. 기업은 경쟁력 강화와 지속 성장을 위해 필요한 적정 인력 산정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다. 필요한 적정인력 규모와 구조를 파악하고 그에 맞게 조정을 진행, 인력구조를 효율화하면 경영 위기에 대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다만 경영위기의 상황에서 인력 구조조정만이 경영위기에 꼭 맞는 처방전이라고 볼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핵심 인재들이 빠져나가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약해지는 우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회사 내부 분위기가 위축될 수 밖에 없다는 것도 구조조정의 암(暗)이다. 잔류 인력들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적지 않은 충격을 받게 된다. 고용에 대한 불안감뿐만 아니라 회사에 대한 불신이나 배신, 심지어 죄책감까지 느낄 수 있다. 구조조정 후 업무 집중도나 성과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결국은 최근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중국의 국내 인력 빼가기에 더욱 취약해짐으로써 인력유출이 가속화하고 산업 경쟁력이 저하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구조조정 이후의 전략적 인력관리방안을 함께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진석 머서컨설팅코리아 부사장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회사가 대상으로 했던 인력이 퇴사하지 않거나 잔류해야 할 인력이 퇴사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며 “경영진의 지시와 전략부서의 요청으로 단순히 인구조조정 계획만 설정할 것이 아니라 구조조정 이후 조직과 잔류인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까지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크레딧분석]두산인프라, 공작기계 매각후 현금흐름 회복될까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