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유바이오로직스 대해부]③“매출·영업익 동반 상승 여력 충분”

김진호 기자I 2024.05.28 09:10:52
이 기사는 2024년05월21일 09시10분에 팜이데일리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김진호 기자] 콜레라 백신 유비콜 제품군으로 널리 알려진 유바이오로직스(206650)는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2026년 이후부터 장티푸스나 수막구균 등 세균 예방 백신 제품을 추가로 출시해 더 큰 성장을 노리겠다는 전략이다.

최근 이데일리와 만난 백영옥 유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올해 매출 1000억원 돌파라는 이정표를 달성하고, 영업이익도 가능한 한 빠르게 300억원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영옥 유바이로로직스 대표.(제공=김진호 기자)
올해 콜레라 제품군 유비콜의 매출이 크게 오를 전망이다. 아프리카 공공 조달시장의 경쟁자였던 인도 샨타바이오텍이 콜레라 제품 ‘산콜’의 공급을 포기하면서다. 이로 인해 유바이오로직스는 올해 약 4900만 도스의 콜레라 백신 물량을 고스란히 도맡게 됐다. 지난해 회사가 글로벌 콜레라 공공백신 시장에 공급한 물량(3200만 도스) 대비 50% 이상 늘어난 수치다.

DS투자증권은 지난 9일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유바이오로직스 생산계획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콜레라 백신 제품군을 통해 1121억 매출과 영업이익 246억원을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백 대표는 “경쟁자가 없어진 콜레라 백신 시장에서 우리 제품의 위상이 높아졌다. 매출이 큰 폭으로 올라설 구조가 마련됐다”며 “차기 성장 동력이 될 신제품의 임상개발도 순항하고 있어 우리의 시장 영향력은 갈수록 증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유바이오로직스는 △장티푸스 예방 백신(EuTCV, 임상 3상 중) △수막구균 예방 백신(EuMCV5, 올하반기 글로벌 2/3상 개시 전망) △폐렴구균 예방 백신(EuPCV, 임상 1상 완료) △대상포진바이러스 예방 백신(EuHZV, 2024년 4월 임상 1상 승인)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예방백신 (EuRSV, 국내 1상 접종 시작) 등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 백신 후보물질을 확보하고 있다.

백 대표에 따르면 이중 가장 개발이 빠른 EuTCV는 2026년 말 공공조달 시장에 진출할 전망이다. 회사는 EuTCV에 대해 필리핀 내 임상 3상을 완료했으며, 아프리카 지역 내에서 추가로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 장티푸스 예방 백신의 유니세프 공공 조달 시장 규모는 약 800억원 안팎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유바이오로직스는 EuMCV5의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해당 제품은 5가 수막구균 예방 백신으로 미국 화이자, 인도세럼연구소 정도가 상용화에 성공한 상황이다. 세계적으로 수막구균 예방 백신의 공공 및 사설 시장 규모는 3.5조~4조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화이자가 개발한 5가 수막구균 백신 ‘펜브라야’는 해당 세균의 혈청형 중 A, B, C, W135, Y 등 5가지를 동시에 예방한다. 반면 인도세럼연구소의 ‘맨파이브’(MENFIVE 혹은 MEN5CV)나 EuMCV5는 B혈청형 대신 X혈청형을 포함하는 5가 수막구균 예방 백신이다. 이중 맨파이브는 지난달 나이지리아를 기점으로 아프리카 공공시장 지역에 공급된 최초의 5가 백신으로 이름을 올렸다.

백 대표는 “5가 수막구균성 뇌수막염 백신에 B형 혈청군이 들어간 것은 보통 성인이 된 다음 이를 챙겨 맞을 여력이 있는 선진국을 위한 제품이다”며 “신규 수막구균성 뇌수막염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뇌수막염 벨트)에서는 다른 지역에서 사실상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X혈청군에 의한 감염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제품이 노리는 시장에서 경쟁할 주요 상대는 인도세럼연구소의 제품이다”고 말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콜레라 백신으로 아프리카 지역 내 회사의 영향력이 크게 증가한 만큼, 추가 제품 상용화 성공 시 공공 조달 시장 입찰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가져갈 수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백 대표는 “콜레라에 이어 장티푸스, 수막구균 예방 백신까지 우리 예상대로 제품 출시가 이어진다면 회사의 재무적 지표도 크게 나아질 것이다”며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사업 진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