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 의장은 “헌재의 선고기일 미확정 상태가 장기화하면서 사회적 혼란이 깊어지고 국가 역량도 소진되고 있다”면서 “공권력은 탄핵 찬반 집회 대응과 산불대응이라는 두 가지 큰 과제를 동시에 감당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면서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경제 상황이 계속되고 있음에도 국론은 분열되고, 여러 현안에 대한 국가의 대응능력도 점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헌재재판관 2인의 퇴임이 약 3주 앞으로 다가오고, 위헌 판단이 났는데도 국회 선출 재판관 후보 미임명 상황이 계속되면서 헌재의 선고에 대한 새로운 억측이 생기고, 이를 둘러싼 대립과 갈등이 더욱 커지고 있다는 점 또한 짚지 않을 수 없다”면서 “지금 국민들은 국가 시스템이 과연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가, 대한민국에 미래가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까지 던지고 있다”고 했다.
우 의장은 두 가지를 당부한다면서 “첫째로 헌법재판관들께서 최대한 신속하게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내려달라”면서 “선고가 지연될수록 우리 사회가 감당할 혼란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또 “그 대가는 고스란히 국민이 치르게 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 의장은 산불 현장 방문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태서 국회의장 공보수석 비서관은 “아마 가까운 시일 안에 산불에 대한 현장 방문 추진과 동시에 국회 차원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조율 이런 부분이 이뤄지지 않을까한다”고 말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한 탄핵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견지했다. 박 비서관은 “최 대행의 국기문란과 진배없는 헌법 위반에 대해서는 심각한 상황인식을 국회의장이 가지고 있다”면서도 “탄핵소추를 강행해야된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전히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여 국정협의회 필요성도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비서관은 “속개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직전 국정협의회에서 최상목 대행에서 한덕수 총리로 카운터 파트너가 바뀐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성을 열어두고 현재 타진하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