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트럼프 관세, ‘한일 경제 기둥’ 車산업 타격…고용 등 위협”

김윤지 기자I 2025.03.28 10:51:52

로이터 "車산업, 한일 경제 기둥이자 자존심"
고용·수출서 비중 높아…日 GDP 3% 차지
핵심 공급망 멕시코도 영향권…美최대 수출국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정책이 한국과 일본에 큰 타격을 가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포드 모터 컴퍼니의 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이 2022년 9월 8일 미시간 주 디어본에 위치한 루즈 전기차 센터(Rouge Electric Vehicle Center)에서 생산 라인에 올라 있다. (사진=AFP)
2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자동차 산업은 한국와 일본의 국가 경제 기둥이자 자존심”이라면서 이처럼 분석했다. 로이터는 자동차 산업의 경우 아시아에서 그 영향력이 훨씬 더 크다면서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수많은 협력업체들로 구성된 산업 생태계의 중심으로 일자리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에서 자동차 산업은 고용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전체 수출에서도 비중이 14%에 달한다. 이중 약 절반이 미국으로 수출된다.

일본에서도 자동차 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3%를 차지한다. 특히 시가총액 1위인 토요타와 같은 대기업들은 노사 연례 임금 협상을 통해 전국적인 임금 인상의 기준을 제시하기도 한다.

리서치 회사 테이토쿠 데이터뱅크에 따르면 일본에서 자동차 관련 공급망은 2024년 5월 기준 약 6만 개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동력에선 500만명 이상, 즉 전체 노동 인구의 약 8%가 이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전일 트럼프 대통령이 내달 3일부터 수입 자동차와 경트럭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한국의 현대차와 기아, 일본의 토요타, 혼다 등 완성차 업체들의 주가가 급락했고 시가총액 165억달러(약 24조원)가 증발했다.

기아 스포티지, 쏘울, 셀토스 등 미국 수출용 모델의 생산 거점이 되는 광주의 한 기아 협력업체 직원은 로이터에 “생산량과 일자리가 줄어드는 건 아닌지 걱정된다”면서 “내달에도 토요일 교대근무를 계속할 계획이지만 수요는 불확실하다”고 우려했다.

미국 완성차 업체인 제너럴 모터스(GM)는 쉐보레 트랙스, 트레일블레이저 등을 한국 공장에서 생산한다. GM 한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차량의 80% 이상이 미국으로 수출되기 때문에 내수 비중이 더 높은 한국 완성차 업체보다 관세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 노조 관계자는 “불안하다”면서 “경영진은 아직까지 2025년 생산 목표를 작년과 비슷하게 잡고 있지만 새로운 목표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이날 자동차 제조사 및 부품업체 임원들과 만나 관세의 영향을 우려하며 4월 중 대응책을 발표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와 관련해 “적절한 대응을 검토할 것”이라면서 “25% 자동차 관세가 일본에 적용하지 않도록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은 2023년 440만 대의 차량을 수출했으며, 그중 3분의 1이 미국으로 향했다.

로이터는 이번 관세 정책이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핵심 공급망 중 하나인 멕시코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수년 간 멕시코에 저비용 생산 기지를 구축해왔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멕시코는 미국으로 250만 대의 경차를 수출, 미국 최대 수출국이다.

트럼프 2기

- 2024년 美무역장벽보고서와 비교해보니…"성장촉진제 사용 인정하라" - 美무역장벽보고서 발표…車규제·약가정책·소고기 거론(상보) - 트럼프 관세·탄핵리스크 확산에 환율 1500원 가나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