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1세대 네이버웹툰 작가들…"美 웹툰 주식 사겠다"고 밝힌 이유는

김가은 기자I 2024.06.28 08:00:54

'네이버웹툰' 1세대 조석·김규삼·손제호 작가 인터뷰
"나스닥 상장 뿌듯하면서도 얼떨떨, 신기한 마음 커"
"AI는 기회, 공부하고 주인이 되면 직장 잃지는 않아"

[이데일리 김가은 기자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수익을 얻고 말고를 떠나서 청춘을 함께 한 곳이다. 주주가 되고 싶다”

네이버웹툰의 시작과 부흥을 함께 했던 1세대 작가들이 28일 온라인으로 열린 웹툰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간담회에서 미국 나스닥 상장에 대한 소감과 함께 주주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김준구 대표가 사원이었던 시절 처음 연을 쌓은 이들은 기억에 남은 에피소드를 공유하며 추억에 잠기기도 했다.

(왼쪽부터) 김규삼 작가, 손제호 작가, 조석 작가(사진=김상윤 뉴욕 특파원)
네이버웹툰 본사이자 북미 법인인 웹툰엔터테인먼트는 2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됐다. 희망가(18~21달러) 상단인 공모가 21달러로 나스닥에 입성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인물들은 네이버웹툰 최장수 연재작 타이틀을 갖고 있는 ‘마음의 소리’ 조석 작가, ‘정글고’와 드라마화까지 된 ‘비질란테’를 연재한 김규삼 작가, 일본에서 애니메이션화가 됐던 ‘노블레스’를 연재한 손제호 작가다. 네이버웹툰 플랫폼에서 오랜 시간 함께 해온 가족인 셈이다.

나스닥에 상장된 웹툰엔터테인먼트 주식을 사겠다는 답의 배경에도 이 같은 마음이 깔려있다. 김규삼 작가는 “이미 10억 정도 공모를 들어갔다”며 “사면서 가족이다. 내 인생의 일부다”라는 생각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김규삼 작가와 김준구 대표 간의 관계는 다른 작가들보다 조금 더 끈끈하다. 과거 국내 만화 잡지 ‘영 챔프’에서 세 번째 연재작 ‘몬스터즈’를 선보였던 29살의 김규삼 작가는 흥행 부진으로 출판시장에서 퇴출 당했다. 그는 “암담했다. 대학교 다니다가 중퇴하고 만화를 그렸는데 시장에서 퇴출된 거다”라며 “너무 후회스러웠다. 부모가 말리는 직업은 다 이유가 있구나 생각했고, 20대를 다 날렸다는 생각이 들어 절망했다”고 회상했다.

암담한 상황 속에서도 살 길을 찾아야 했던 김규삼 작가는 공인중개사를 준비하던 중 당시 사원이었던 김준구 대표에게 전화를 받았다. 몬스터즈를 재밌게 보고 있던 김준구 대표가 연재 제의를 한 순간이었다. 김규삼 작가는 “몬스터즈 댓글에 ‘너무 재밌다. 밤 중 사무실에서 읽다 배 잡고 웃었다’라는 댓글이 있었다. 이렇게 재미있는 보는 사람이 있다니 20대가 헛되지 않았다라는 생각을 했다”며 “그 사람이 김준구 대표였다. (연재) 연락이 온 뒤 정자동 사옥에서 준구 대표를 만났다. 사원증을 목에 걸고 저한테 걸어온 2006년의 모습이 많이 생각난다”고 설명했다.

27일(현지시간) 나스닥 상장식에 김준구 네이버 웹툰 대표이사를 비롯해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책임자(GIO)등이 참석해 환호하고 있다. (사진=나스닥)
작가들은 미국 나스닥 상장이 뿌듯하면서도 현실 같지 않다는 반응을 내놓기도 했다. 조석 작가는 “맨 처음부터 시작했는데 성공 시트콤을 찍는 느낌”이라며 “열심히 하면 이렇게 될 수 있다는게 신기하고 뿌듯하다”고 말했다. 손제호 작가는 “작게 시작한 웹툰 서비스에 함께 참여했었고, 어느 순간 글로벌 서비스가 돼 있었다”며 “독자들이 우리 웹툰을 찾고 있고, 세계 시장의 평가를 받는 자체가 기분이 좋다”고 언급했다.

인공지능(AI)에 대한 견해도 공유했다. 네이버웹툰은 이번 상장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AI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작가들의 작업을 보조하는 형태의 기술로 고도화시키겠다는 목표다.

손제호 작가는 “AI를 주의깊게 바라보고 있다. 큰 변화가 있지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 며 “AI를 써야 하는 시기에 맞게 대중과 충돌하지 않는 상황에서 작가들이 사용할 것이다. 언제 어떻게 쓸 지는 때가 되면 대중이 알려둔다.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규삼 작가는 “AI를 직원들에게 연습하라고 적극 권장하고 있다. 지금 쓰지 않더라도 언젠가 쓸 수 밖에 없다”며 “AI가 일을 다른 형태로 바꿀 수 있다고 생각은 한다. 그러나 공부하고 주인이 되면 직장을 잃을 것 같지는 않다”고 역설했다.

한편, 상장 첫날 웹툰엔터테인먼트는 공모가인 21달러보다 9.5% 오른 23달러에 장을 마쳤다. 김준구 대표는 “웹툰 콘텐츠 마니아로서, 웹툰이 산업으로 인정을 받으면 좋겠다는 욕망이 있었다”면서 “아직 그 단계까지 완벽하게 도달한 것은 아니지만, 이번 상장을 계기로 이 목표를 향해 더 빠르게 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