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비가 산불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지는 알 수 없다는 게 기상청의 분석이다. 강수량이 적기 때문이다. 28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경남 남해안 5~20㎜ △부산·울산·경남 내륙 및 경북 서부 내륙 5~10㎜ △대구·경북(서부 내륙 제외) 및 울릉도·독도 5㎜ 미만 △전라권 5~20㎜ △충청권 5~20㎜ △강원 영서 5~10㎜ △강원 영동 5㎜ 미만 △수도권 5~20㎜ △제주도 5~30㎜이다.
다만 산불발생 지역의 실효습도가 오를 경우 화재 진압이 수월해질 가능성도 있다. 정성철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 연구관은 “비가 5㎜ 정도 내리면 실효습도가 오르고, 연기와 안개가 가라앉기 때문에 헬기 동원과 지상 진압에 간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기 중 실효습도가 40% 이하로 떨어지면 낙엽의 수분 함유량이 감소해서 불이 빠르게 번질 수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수분 함유량이 15% 이하인 낙엽은 35%인 낙엽과 비교했을 때 발화율이 약 25배 높다.
문제는 26~27일 이후 한동안 비가 내리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진규 기상청 통보관은 “28일까지 저기압이 우리나라를 빠져나가고, 그 뒤로 서쪽에서 접근하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말까지 추가 강수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이후에도 뚜렷한 비 소식은 없다”고 설명했다.
김해동 계명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지금 일기도를 보면 오늘과 내일 내리는 비는 강수시간이 짧고, 전선 자체가 산불이 난 지역에 영향을 주기 어렵다”며 “지금은 자연에 도움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비가 오고 나면 북동풍이 불기 때문에 이번에 불을 못 끄면 산불이 인구가 많은 남쪽으로 내려올 것이다”며 “오늘과 내일이 골든타임”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