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트럼프 관세 정책 반발?…머스크, 미국과 유럽간 '무관세' 희망

이소현 기자I 2025.04.06 09:46:29

이탈리아 극우정당 행사 화상연설서 발언
트럼프의 '관세책사' 나바로 비판하기도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미국과 유럽간의 관세가 없는 자유무역을 보고 싶다며 ‘반(反)관세’ 입장을 드러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브로맨스가 끝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사진=AFP)


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이날 이탈리아 극우 정당 라 리가(La Liga) 행사에서 화상 연설을 통해 “미국과 유럽이 매우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길 바란다”며 “이상적으로는 무관세 체제로 나아가 자유무역지대를 효과적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데 합의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머스크 CEO의 이날 언급은 트럼프 대통령이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뒤 3일만에 나와 관심을 끌었다. 무역 불균형 해소라는 목적에는 트럼프 대통령과 의견이 일치하지만, 방법론에 있어선 관세부과에 이견을 나타낸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전 세계 대다수 나라에 대규모 관세 계획을 발표했다. 주요 교역국에는 국가별 상호관세(10%+알파)를 부과했으며, 유럽연합(EU)산 제품에 대해서도 20%를 책정했다.

머스크 CEO의 이날 발언은 EU 회원국들의 관세에 대한 반발이 거세면서 최근 확산하고 있는 테슬라 판매량 감소, 스페이스X 계약 취소 우려 등을 막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도 나온다. 실제 EU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에 대응 조치로 미국 빅테크에 대한 데이터 사용 규제를 포함할 수 있다고 에리크 프랑스 재무장관이 지난 5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밝히기도 했다.

뉴욕타임스는 “머스크의 이날 발언은 트럼프 행정부의 유럽에 대한 경멸적인 태도와 대조적”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미국을 ‘뜯어먹기’(screw) 위해 창설됐다고 주장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머스크 CEO는 또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세 정책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책사’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 한 네티즌이 ‘나바로는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쓴 데 대해 댓글을 달며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는 좋은 게 아니라 나쁜 것”이라며 “자아(ego)가 두뇌(brains)보다 큰 문제로 귀결된다”고 주장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