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경찰, 온라인 마약류 시장 척결 추진…"전담팀이 타깃 수사"

손의연 기자I 2025.03.31 06:00:00

전자상거래 익숙한 청년 마약류 사범 비중 급증
경찰, 온라인 마약류가 국내 마약 유통 핵심 판단
온라인 마약수사 전담팀이 유통수단 타깃 수사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온라인 마약 유통을 끊기 위해 수사 전담팀을 구성하는 등 총력 대응에 나선다.

경찰 (사진=연합뉴스)
31일 경찰에 따르면 온라인 마약류가 익명 거래와 비대면 배송 방식을 등에 업고 ‘고마진 시장’으로 인식되며 전자상거래에 익숙한 청년층(10~30대) 마약류 사범의 비중(63.4%)이 급증하고 있다.

국수본은 올해 상반기 마약류 집중단속을 진행하고 있으며 ‘온라인 마약류’를 중점 단속테마로 선정해 수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경찰은 텔레그램 등 보안 메신저, 가상자산을 이용해 국내 온라인 마약류가 확산되면서 이를 막기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

우선 2020년부터 각 시도경찰청에서 운영해온 다크웹·가상자산 전문수사팀을 온라인 마약수사 전담팀으로 개편해 전담 대응 체계를 정비한다.

전담팀은 △불법 가상자산 거래소 △판매 광고 대행업자 △전담 운반책 등 마약류 유통단계 간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는 ‘유통 수단’에 대한 타깃형 수사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전문 수사역량 강화에도 박차를 가한다. 다양한 온라인 판매 채널에 대한 사이버 추적기법 및 관련 법령·제도 등에 관한 전문 교육과정을 신설한다. 이와 함께 가상자산 추적프로그램 및 분석전문가 지원 등의 자원을 활용해 가상자산 유통경로에 대한 추적과 범죄수익 환수 활동을 동시에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경찰은 온라인 마약류의 거래 창구로 악용되는 불법(미신고) 가상자산 거래소 및 전문 광고업자에 대해서는 마약류 매매 방조 혐의 적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등 단속 활동에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독려할 방침이다.

해외 IT 기업, 보안메신저 등이 온라인 마약류 범죄에 이용된 경우 ‘국제공조 인프라’를 활용해 수사 단서를 확보하는 한편,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마약류에 대해 지난 2024년 9월 발족한 아시아 마약범죄 대응 실무협의체(ANCRA)의 ‘국가 간 마약류 수사 협력 채널’을 적극 가동할 계획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마약류 범죄는 유통 기반의 범죄로, 온라인 유통 수단 간 연결고리를 단절함으로써 온라인 마약류 시장을 와해하겠다”며 “‘마약류는 시작이 끝’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단 한 번의 투약이라도 돌아올 수 없는 신체적, 정신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기에 호기심으로라도 접근하지 말 것”이라고 당부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