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현대연 "내년 1분기 적정금리 2.05%…완화적 통화기조 유지해야"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장영은 기자I 2025.07.06 11:00:00

"경기 회복 위한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 필요"
"대내외 여건 우호적…성장친화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
"정책대응 통해 금리인하 부작용 최소화 노력해야"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은 내년 1분기 적정금리 수준으로 2.05%로 제시하며,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의 지속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진= 한국은행)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부터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진입함에 따라 기준금리는 네 차례 인하돼 3.50%에서 2.50%까지 낮아졌지만, 경기 동행지수와 선행지수의 개선세는 여전히 제한적인 상황이다.

이택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반등 모멘텀을 형성하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의 유지가 여전히 필요하다”며 “테일러 준칙을 이용한 결과 적정금리는 올해 3분기 2.29%, 내년 1분기 2.05%로 추정됐다”고 말했다.

우리 기준금리가 이미 완화적 구간에 진입해 있으며, 이같은 기조가 내년 1분기까지도 유지돼야 한다는 이야기다.

테일러 준칙은 △실질 중립금리 △현재의 인플레이션율 △인플레이션 목표 △실제 성장률과 잠재 성장률의 차이 등을 반영해 기준금리의 적정 수준을 산출하는 대표적 정책금리 산정 공식이다.



연구원은 대내외 여건 역시 완화적 통화정책에 우호적이라고 진단했다.

국내 거시경제 상황을 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 내외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내수 침체로 인한 수요 위축으로 추가 인플레이션 압력도 낮다고 봤다.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정책도 통화정책 기조 유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됐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에 따라 한·미 기준금리 차가 현 수준에서 크게 확대될 가능성이 낮고, 원·달러 환율과 외국인 투자자금 흐름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통화 완화 기조에 우호적인 여건을 이어가기 위해선 경기 회복과 금융안정이라는 두 가지 정책 목표가 상충되지 않도록 통화·재정 정책의 공조와 신중한 정책 운용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성장 친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가계부채 급증 등 금리 인하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향후 계절적·정책적 요인 등으로 인한 일시적 물가 불안에 대비한 미시 대응체계도 사전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정부는 금리인하 시기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모니터링과 지원 방안 마련에도 힘쓸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