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총수입 1조원 육박하지만 투자비용 41조원…적자 못 면했다[아시안게임 결산]

주미희 기자I 2023.10.10 00:02:00

조직위 “후원 업체 후원금 규모 역대 최대 규모” 자평
대회 시설·인프라 구축에 41조원 쏟아부어 빚더미
2010년 광저우 대회보다 2배 이상 투자…주민들 불만 쏟아져

8일 막을 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폐회식(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스타in 주미희 기자]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의 총수입이 1조원에 육박해 역대 아시안게임 중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광명일보 등 현지 매체가 보도했다. 그러나 인프라 구축 등에 41조원이 투자된 것에 비하면 적자 계보를 면치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항저우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아시안게임과 장애인 아시안게임으로 벌어들인 총수입은 53억1600만 위안(약 9800억원)이다. 주요 수입은 176개 기업이 후원한 44억1780만 위안(약 8200억원)과 마스코트 등 라이선스 상품 매출 7억6000만 위안(약 1400억원)이다.

조직위는 후원 업체와 후원금 규모가 역대 아시안게임 가운데 최대 규모라고 자평했다. 그러나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치르기 위해 쏟아부은 금액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중국 항저우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경기장과 선수촌 등 아시안게임을 위한 직접적인 시설, 도시 철도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해 2248억 위안(약 41조5000억원)을 투자했다. 이는 2010년 아시안게임을 치렀던 광저우가 투자한 1090억원(약 20조원)의 2배를 넘어선 금액이다.

일부 항저우 주민은 “아시안게임을 위해 쏟아부은 막대한 돈을 서민들을 위해 쓰는 것이 더 낫지 않냐”고 불만을 쏟아냈다고 대만 중앙통신사가 전했다. 홍콩 시사평론가 류루이샤오는 “중국은 스포츠 대회를 치르면서 대외 선전과 거시적인 경제적 이익에만 초점을 맞춘다. 아시안게임과 같은 스포츠 대회가 중국 경제의 기조를 바꿀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비판을 의식해 대회 조직위는 그동안 필수 기반시설인 경기장을 기존에 지어진 건물을 최대한 활용했고, 대회가 끝나면 경기장을 주민 운동시설로 재활용하는 등 비용을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

역대 개최된 대부분의 대형 국제 스포츠행사는 인프라 건설 비용 등으로 대규모 적자를 피하지 못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직격탄을 맞아 대회 연기, 무관중 경기 등으로 치른 2021년 도쿄올림픽은 최소 7조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해 일본 내 비판 여론이 거셌다.

2016년 개최된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역시 17조원이 넘는 적자가 생겨 가뜩이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브라질이 빚더미를 떠안았다. 2012년 올림픽 개최지였던 런던 또한 기존 시설 활용과 경기장을 재활용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시도했지만, 초기 예산보다 약 4배가 더 많은 149억5000만달러(약 17조7830억원)가 투자돼 재정 절감에 실패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