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면서 “한국은 내 1기 때 수십억 달러의 방위비를 지불하기 시작했지만, 조 바이든이 이유도 없이 그 합의를 종료시켰다”며 “모두가 충격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
이어 그는 “우리는 양국 모두에게 훌륭한 ‘딜’이 될 수 있는 여건 및 가능성을 갖고 있다”며 “한국의 최고 협상팀이 미국으로 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우리는 무역과 관세 외에도 다른 사안들을 한 번에 협상하는 ‘원스톱 쇼핑’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첫 임기였던 2020년 당시에도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대폭 증액을 요구하며 한국 정부와 갈등을 빚은 바 있다. 당시 미국은 한국이 분담금을 5배 가까이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해 협상이 장기 교착에 빠졌었다.
이번 발언은 그가 2025년 대통령 재임 후 실제로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재추진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동시에 LNG 수입, 조선업 문제 등 통상 현안과 안보 사항을 하나로 묶은 ‘패키지 딜’ 전략도 엿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도 거래를 원하지만 어떻게 시작할지를 모르는 상태”라며 “우리는 그들의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 곧 일어날 것”이라고 말해, 다자간 통상·안보 협상을 동시에 추진할 방침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