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발표

탄핵 선고일 지정에 증시 반등…“상호관세·탄핵심판이 변수”

박순엽 기자I 2025.04.01 17:02:58

코스피, 저가 매수세 힘입어 2500선 복귀
美 ‘상호관세’ 우려 속 외국인 매도세 지속
“불확실성 걷히면 외국인 자금 본격적 유입”
“펀더멘털 대비 저평가된 대형株에 주목해야”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국내 증시가 정치적 불확실성 축소와 전일 낙폭 과대 인식에 따른 저가 매수세 유입 등에 힘입어 반등에 성공했다. 그러나 미국의 상호관세 행정명령 발표,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등 주요 이벤트들이 남아 있어 당분간 증시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증권가에선 실적 대비 저평가된 종목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 등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1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0.27포인트(1.62%) 오른 2521.39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3% 하락했던 지수는 이날 장 초반부터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하루 만에 2500선에 복귀했다. 여기에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 지정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한 점도 지수 상승에 힘을 보탰다.

이날 국내 증시의 반등 속에서도 외국인 투자자는 여전히 매도세를 이어 나갔다. 개인과 기관이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각각 1449억원, 1947억원치를 사들이는 동안 외국인은 4485억원치를 팔아치운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에선 여전히 시장 불확실성 속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오는 2일(현지시간) 예정된 미국의 상호관세 행정명령 발표는 시장 불확실성을 높이는 가장 큰 요소로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이라고 칭하는 이날, 미국 정부는 각국의 대미(對美) 관세율과 비관세장벽 등을 고려해 조정한 새로운 상호관세를 발표할 예정이다.

박혜란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재 시장은 관세 이슈에 둔감해지기엔 이른 시점”이라며 “국가별 관세와 품목별 관세 구분, 비관세장벽을 고려한 조치 적용 방식, 관세 조정 가능성 등이 모두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본적으로 상호 관세 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지속시간이 길수록 주식시장에 부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증권가에선 미국 상호관세 행정명령 발표,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등이 마무리돼 시장 불확실성이 걷히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리라고 판단했다. 상호관세와 관련해선 시장 우려 대비 더 강한 관세를 부과하지 않으면 시장 분위기가 반전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와 함께 국내 증시에 외국인 자금이 본격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올 2분기를 기점으로 공매도 재개, 실적 턴어라운드에 힘입어 국내 증시 수급 주도권은 연기금에서 외국인으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 탄핵 사례를 살펴보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외국인 자금의 추가 유입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외국인 순매수 규모가 확대되면 자동차·금융 등 저평가된 대형주와 실적 개선주 전반으로 매수세가 확산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세 불확실성 완화를 포함해 공매도 재개를 통한 시장 접근성 개선, 올 1분기 실적시즌을 통한 펀더멘털 확인 과정 등을 거치면 이 같은 펀더멘털 기반의 장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리란 분석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4월엔 개별 테마보다 실적과 밸류에이션의 중요성이 부각될 것”이라며 “공매도 재개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헤지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장기 투자자금 유입을 촉진하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반도체와 더불어 자동차, 금융, 일부 산업재 등 펀더멘털 대비 저평가된 대형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구축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尹대통령 파면

- “尹 파면” 입술 떤 문형배…퇴장하며 김형두 등 쓸어내렸다 - "尹 재출마 가능하나요?"…보수 성향 소셜 플랫폼에 관련글 多 - 북, 尹 파면 무반응…朴 때는 2시간 만에 신속 보도 차이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