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현지시간)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와 복스 등에 따르면 미 국무부는 이번 사태가 쿠데타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미국 법에 따라 쿠데타로 규정되면 미국의 원조에 자동으로 제한이 걸린다. 미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기자회견에서 “버마 정부에 대한 해외 원조 중단이 필요하며, 우리의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광범위한 검토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군사 지도자 개인을 표적으로 삼는 데서 기업을 겨냥하는 제재까지 다양한 선택지가 거론된다. 비자 제한도 제재 수단이다. 군부 지도자를 향한 제재는 가족에도 적용되기에 미얀마 군 관계자들의 자녀가 미국 유학을 못 하게 만들 수 있다. 미얀마와 거래하는 제3국의 단체나 개인에게도 적용하는 세컨더리 제재를 가하는 방안도 미얀마를 압박할 수 있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다만 이 같은 조치는 로힝야 난민 등 미얀마 시민사회에 직접 전달하는 인도적 지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전망이다.
|
하지만 미국이 원조 중단과 제재 발동을 경고하며 군부 압박에 나섰지만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미국이 미얀마에 지원한 원조 규모는 약 1억8500만달러(약 2064억원)이지만 이 가운데 정부로 유입되는 금액은 극히 적어서다. 복스는 “바이든 행정부조차 미국이 미얀마에 ‘아주 적은’ 돈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며 “전문가들이 이미 지적했듯 군사정부를 제재하려는 미국의 노력이 큰 타격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미얀마 군부 핵심 지도자에 대한 제재도 2019년부터 시행 중이다.
대니얼 러셀 전 국무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바이든 행정부의 딜레마는 두 가지”라며 미얀마 군부는 미국의 일방적인 조치에 면역이 돼 있어 추가 제재가 미미한 영향만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동남아에서 영향력 확대를 노리는 중국은 군부를 지원할 수 있는 호재로 여기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