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 '금융강국'이 어쩌다…"또 증세? 이러다 다 떠난다"

김연지 기자I 2024.11.08 15:01:18

[EU있는 경제]
증세 나선 英에 자본시장 분위기 '어수선'
국가 부채 폭증에 국영기업까지 팔고 있는 영국
극약처방으로 '31년 만의 최대 증세'하기로
사모펀드 매니저 성과보수 세금 32%로 인상
업계 "이런식이면 영국 메리트 없어질 것"

[런던=이데일리 김연지 기자] ‘이러다 다 떠나겠다.’

영국 노동당 정부가 세수 확보를 위해 자본이득세 개편에 나서면서 현지 자본시장 분위기가 어수선하다. 영국 정부가 최근 발표한 예산안에 사모펀드(PEF) 매니저가 자산을 매각할 때 받는 성과 보수에 부과하는 세금을 기존 28%에서 32%로 높이는 내용이 포함되면서다. 내로라하는 글로벌 사모펀드운용사들이 유럽에서도 특히 영국에 지사를 설립하고 현지 매니저를 채용해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업계에선 “곧 영국 메리트가 떨어질 것”이라며 우려하는 모습이다.

사진=구글 이미지 갈무리
영국 노동당 정부는 지난주 연간 71조 5000억원 규모의 증세 계획을 담은 예산안을 발표했다. 국가 부채 폭증으로 흔들리는 영국이 눈물을 머금고 전통있는 국영기업까지 매각하고 있는 가운데 내놓은 극약처방이다. 레이첼 리브스 영국 재무장관은 이번 예산안을 공개하면서 “공공 재정의 안정을 복구하고, 공공 서비스를 재건하겠다”며 증세 이유를 설명했다.

현지 자본시장에서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부분은 사모펀드 매니저들의 투자 성과 보수 관련 세율이다. 이번 예산안에 따르면 영국은 사모펀드 매니저들의 성과 보수 세율을 기존 28%에서 32%로 인상했다.

영국은 그간 펀드 매니저들의 성과 보수를 근로소득이 아닌 자본이득으로 간주하고는 28%의 자본이득세율을 적용해왔다. 영국은 사모펀드운용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세금을 너무 적게 낸다는 여론이 형성된 지난 2000년대 초반부터 사모펀드 증세 논의를 이어온 대표적인 국가다. 이에 영국 금융감독청은 사모펀드 감시를 강화해왔고, 재부무는 증세 논의를 시작, 업계 의견을 수렴해 이를 근로소득 대신 자본이득으로 간주하고 세금을 적용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자본이득세율 인상이 결국 사모펀드운용사 및 관련 인재의 이탈을 장려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보는 모양새다. 글로벌 사모펀드운용사들이 인재 유치를 위해 고소득을 제시하는 가운데 영국에서 세율을 높여버리면 경쟁률이 꺾일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 뒤따른다. 특히 영국 정부가 다가오는 2026년 4월부터는 성과 보수를 근로소득으로 간주하고 소득세를 적용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는 만큼, 이번 인상은 그에 앞서 (펀드 매니저와 사모펀드운용사에) 대비할 시간을 주는 것과 다름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자본시장에선 이번 예산안이 영국 사모투자 생태계를 위축시키는 안이라고 보고 있다. 현지 업계 한 관계자는 “유럽에서도 특히 영국에 지사를 세우는 글로벌 사모펀드운용사들이 이제는 그럴 이유가 없어질 것”이라며 “현지 펀드 매니저의 사기를 꺾어놓는 예산안인데, 시장에 활력이 돌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특히 “2026년부터는 성과 보수 세율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바뀐다”며 “그에 앞서 영국에서 탈출할 사모펀드는 탈출하고, 남을 곳은 막대한 세금을 준비시키는 것으로 밖에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