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정경두 국방부 장관은 북한의 연락사무소 폭파 직후 우리 군의 감시자산으로 확인한 상황을 보고받고 박한기 합참의장과 함께 합참 전투통제실에서 상황을 관리했다. 국방부는 “우리 군은 현 안보상황 관련해 북한군의 동향을 24시간 면밀히 감시하면서 확고한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안정적 상황관리로 군사적 위기가 고조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한이 군사적 도발행위를 감행한다면 우리 군은 이에 강력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북한의 향후 시나리오를 경계했다.
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은 13일 담화에서 연락사무소 철거를 공언하면서 ‘다음 대적행동’ 행사권을 인민군 총참모부에 넘겼다. 이에 이날 오전 총참모부는 남북합의로 비무장화된 지역에 다시 진출하고 남쪽을 향해 삐라(전단)를 살포하겠다고 예고했다. 방사포와 전차부대를 개성공단 지역으로 재배치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개성은 과거 유사시 최우선 남침 통로로 꼽혀온 곳이다. 지난 2003년 개성공단 착공 이전까지만 해도 북한군 주력 전차인 ‘천마호’와 장갑차 대대 등을 보유한 6사단과 170㎜ 자주포 및 240㎜ 방사포를 운용하는 62포병여단이 배치돼 있었다. 사거리 54~65㎞에 이르는 이들 장사정포는 수도권에 위협적이다. 또 금강산 관광특구가 확장되면서 폐쇄된 장전항 잠수정 기지의 운용도 재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과거 이 곳에는 유고급(70t) 잠수정이 드나들었다.
이와 함께 북한이 향후 비무장지대(DMZ)와 북방한계선(NLL)에서 군사 충돌을 방지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9.19 군사합의 파기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남북 합의에 따라 철거한 DMZ 내 감시초소(GP)를 복원하거나, 지상과 해상·공중 완충 구역에서의 군사행동도 예상되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