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관측 위성 랜드샛9에 포착
의성→안동→영덕까지 불탄 흔적 선명
[이데일리 김혜선 기자]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역대 최악의 산불의 흔적이 나사 위성에 포착됐다. 산불이 시작된 경북 의성부터 안동, 영덕 바닷가 마을까지 산림은 검은 모양으로 불탄 흔적이 선명한 모습이다.
 | 나사 위성 랜드샛9호가 촬영한 경북 지역 산불의 흔적. (사진=나사 지구관측소) |
|
8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지구관측소’는 지구관측위성 랜드샛9호가 촬영한 경북 산불 피해 지역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이 위성사진은 지난 4일 촬영된 것으로 경북 의성에서 영덕까지 약 80km 이상 산림이 불에 타 검게 변한 모습이다. 이 사진은 단파장 적외선, 근적외선, 가시광선 파장으로 촬영한 것을 합쳐 완성한 것으로 실제 색상이 아닌 실제 색상이 아니라 불에 타지 않은 지역(녹색)과 불에 탄 지역(갈색)을 대비하기 위해 임의로 입혔다.
 | 나사 위성 랜드샛9호가 촬영한 경북 지역 산불의 흔적. (사진=나사 지구관측소) |
|
의성 산불은 지난달 21일 시작돼 건조하고 강한 바람을 타고 순식간에 먼졌다. 산불은 나흘 만에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까지 번졌고, 28일 약한 비가 내릴때까지 계속 번졌다. 약 8일 만에 주불을 진화했지만 서울 80% 크기인 4만 8000ha의 산림이 불타고 수십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뒤였다. 또 주택 전소가 3669채, 반소 249채, 부분 소실이 285채로 주택 4203채가 피해를 입었고 이재민은 3368명이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농축산업 분야에서는 농작물 3862㏊, 시설하우스 689동, 농기계 8249대가 소실됐다.
경북도는 산불 피해 신고액을 1조4300억원으로 잠정 집계했다. 이에 따른 복구비는 2조7868억원으로 추산됐다. 신고 피해액과 복구비 추산액은 시군이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한 신고 규모를 말하며 이를 토대로 중앙부처가 합동조사를 벌여 최종 피해액과 복구액을 확정한다.
한편, 2021년 발사된 랜드샛9호 위성은 고도 700㎞의 극궤도를 돌면서 8일 주기로 지구의 동일한 지역을 재방문해 해상도 30m의 정밀도로 관측할 수 있다. 극궤도란 지구의 남극과 북극을 따라 도는 궤도를 말한다. 지구 전체를 주기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성의 주된 임무는 산림, 농작지, 도시, 해안선 등 지구 표면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랜드샛은 1972년 시작된 미국 정부의 장기적인 지구 관측 프로젝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