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자원개발 역주행]⑤"셰일가스 전방위 수출"..자원개발 드라이브 美

최훈길 기자I 2016.09.07 19:10:00

내년 6월 국내에 셰일가스 공급하는 사빈패스 발전소
수입→수출 기지로 미국 LNG 발전소 급격한 전환
중동산보다 나은 파격적 계약조건, 멕시코도 술렁
"전기차·신재생 사업에 미칠 셰일가스 물량 공세 주목"

[루이지애나=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검은 진주가 있는 땅에 오셨다”

지난 달 30일(현지시간) 미국 루이지애나주 사빈패스(Sabine Pass) LNG 발전소를 방문하자 관계자들은 이같이 환영 인사를 건넸다. 이곳은 휴스턴 도심에서 버스로 2시간 가량 거리로 석유, 셰일가스가 풍부한 곳이다. 한국가스공사는 내년 6월부터 20년간 셰일가스(연간 350만톤)를 사빈패스를 통해 국내에 처음으로 수입한다. 국내에서 연간 소비하는 LNG의 10% 수준으로 1200만 가구가 2개월 가량 쓸 수 있는 어마어마한 양이다.

발전소 현장은 분주하게 움직이는 분위기였다. 곳곳에서 LNG 공장이 추가로 건설 중이었다. 이곳은 민간발전사(Cheniere)가 운영사로 참여해 미국 최초로 LNG 수입기지에서 수출 기지로 전환 중이다. 당초 이 발전소는 해외에서 LNG를 수입해 온 뒤 미국에 공급하는 인수기지로 운영됐다. 하지만 수출 기지로 전환하면서 수송선에 LNG를 싣기 위한 액화 시설을 2018년까지 건설할 계획이다.

이같이 수출기지로 전환하는 발전소는 최근 들어 미국에서 늘어나는 추세다. 사빈패스를 시작으로 올해 1월까지 총 41개 수출 전환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원인은 셰일가스 여파다. 미국에서 나오는 셰일가스의 공급량이 수요를 초과하면서 더 이상 수입용 인수기지가 필요 없게 된 것이다.

한국은 해외자원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한데 미국은 셰일가스 수출국으로 숨 가프게 전환하고 있는 셈이다.

더글라스 부사장은 “2020년, 2021년 이후에는 전세계적으로 LNG 수요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준비를 하고 있다”며 “수출기지로 전환해 가동하면서 앞으로 실적이 나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2014년 말 기준 자산 총액은 125억7300만달러(약 13조원), 당기순손실은 5억4800만달러(약 5992억원)을 기록했는데 머지 않아 흑자 기조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다.

미국 최초로 LNG 수입기지에서 수출 기지로 전환해 내년부터 한국에 셰일가스를 공급하는 미국 루이지에나 사빈패스(Sabine Pass) 발전소 전경. LNG 탱크에 운영사 Cheniere 마크가 표시돼 있다.(사진=최훈길 기자)
이 같은 변화는 국내 가스 계약에도 영향을 끼칠 전망이다. 가스공사는 사빈패스 운영사와 파격적인 조건으로 계약을 맺었다. 가스공사는 한국 수요 초과분을 해외에 팔 수 있고 국제 시장가보다 비쌀 경우 셰일가스를 수입하지 않을 수 있는 내용의 계약을 맺었다. 더글라스 부사장은 “미국에서 오는 셰일가스는 중동산과 달리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데 용이한 장점이 있다”며 “LNG 업계의 새로운 추세인 이런 계약 방식은 수출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외국과 맺는 모든 계약을 이렇게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셰일가스를 도입해 국내 발전소나 도시가스에 공급하는 가스공사는 향후 계약 조건을 놓고 고심하는 상황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산업부 로드맵에 따라 2025년부터 가스 부문에 경쟁체제를 도입할 경우 다음 정부 중반인 2020년부터는 가스계약 협상에 들어갈 전망”이라며 “사빈패스 셰일가스와 같은 좋은 계약 조건을 민간이나 공기업 중 누가 어떻게 가져갈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미국의 셰일가스 수출 파장이 5~10년 안에 상당할 것으로 전망한다. 멕시코는 미국 애리조나주와 헤르모실로(Hermossilo)를 연결하는 339km에 달하는 가스관을 통해 셰일가스를 수입 중이다. 미국산 셰일가스가 중유 등 다른 에너지원보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멕시코도 셰일가스를 보유하고 있지만 기술력, 채산성, 가격 경쟁력 등을 고려하면 미국산 셰일가스에 뒤지는 상황이다.

이 결과 멕시코 국영 전력청(CFE)에 따르면 2004년 발전 부문 가스 비중은 42.9%에서 2014년 57%로 늘어났다. 멕시코는 2014년에 전체 가스 공급량(6022만톤, 7253.9mmpcd) 중 39.4%를 수입했다. 수입 물량 중 70% 가량이 미국산 셰일가스였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중국의 영향력이 커졌다고 하지만 셰일가스의 발견으로 미국의 패권이 계속 유지되는 양상”이라며 “멕시코가 이대로 계속 수입량을 늘려가면 미국에 대한 에너지 종속을 걱정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셰일가스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미국은 루이지애나주 사빈패스(Sabine Pass)를 시작으로 LNG 수출에 나섰다. 올해 1월까지 미국 현지에서 총 41개 LNG 수출 프로젝트가 추진 중이다. (출처=한국가스공사)
스페인 해외자원개발 민간기업인 렙솔의 장영길 이사(에너지트레이딩 디렉터)는 “전기차, 신재생 에너지 사업이 확장되면 향후에는 천연가스 발전소가 증설되는 방향으로 한국의 에너지시장이 재편될 것”이라며 “정부나 업계는 미국의 엄청난 셰일가스 물량공세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관련기사 ◀
☞ [자원개발 역주행]①"기업은 뛰는데 정부는 눈치만"
☞ [자원개발 역주행]②"대선 앞인데 쉿 조용" 오락가락 자원 정책
☞ [자원개발 역주행]③엑슨모빌 "자원개발에는 왕도 없다"
☞ [자원개발 역주행]④멕시코 대사 "호황기인데 직항편도 없다"
☞ [자원개발 역주행]⑥이승훈 사장 "엑슨모빌 같은 '스타플레이어' 키워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