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생 66%가 "1학기 등록 찬성"
제적은 피했지만…수업 정상화 미지수
의대협 "나머지 의대 미등록 투쟁 유지"
[이데일리 김윤정 기자] 서울대·연세대 의대생들이 잇따라 등록을 결정하면서 두 대학은 대규모 제적 사태를 피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 의대의 경우 설문조사에서 약 66%가 1학기 수업 등록에 찬성했으며 이러한 움직임이 다른 의대로도 확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다만 등록 후 투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라 수업 거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 지난해 10월 한 시민이 서울대 의대 앞을 지나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
|
27일 서울대 의정갈등 대응 태스크포스(TF)는 지난 26일 오후 10시부터 이날 오전 8시까지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607명 중 399명(65.7%)이 등록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를 주도한 TF는 “미등록 휴학으로 투쟁을 이어나가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등록 후 투쟁의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했다.
하지만 의대생들의 등록 이후에도 교육이 정상화 될지는 불확실하다. 학생들이 등록만 해두고 수업은 듣지 않는 방식으로 집단 행동을 할 수 있어서다. TF 역시 “향후 투쟁 방향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빠른 시일 내에 안내하겠다”고 했다.
연세대 의대 역시 전날(26일) 등록 거부에서 ‘등록 후 휴학’, 또는 ‘등록 후 수업거부’로 방침을 바꿨다. 연세대 의대는 지난 21일 등록 마감 후 사흘 뒤인 24일 미등록생들에게 제적 예정 통지서를 발송했다. 다만 대학은 28일 최종 제적 처리를 앞두고 학생 등록을 열어두고 있는 상태다.
이번 서울대·연세대 의대의 결정으로 전체 40개 의대 학생회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의 단일대오에 균열이 생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의대협은 이날 성명서를 내면서 명단에서 연세대와 서울대를 제외했다. 의대협은 “서울대·연세대의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며 “전공의 선생님도 여전히 돌아오지 않고 있다”며 타 대학의 미등록 투쟁을 독려했다.
한편 이날 서울대 의대 비롯해 부산대·경상국립대·영남대·제주대·이화여대 등이 의대생들의 등록 접수를 마감한다. 대다수 대학은 등록 마감 시한을 넘길 경우 학칙에 따라 미등록 제적하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교육부는 각 대학이 의대생들을 학칙에 따라 처리한 이후에는 별도의 구제 방법이 없음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 주요 대학의 의대생 복귀 시한. (그래픽=이미나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