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서울대 의대 병원 교수들은 의대생들에 복귀를 호소하며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로드맵도, 설득력 있는 대안도 없이 1년을 보냈다. 오직 탕핑과 대안 없는 반대만이 있을 뿐”이라는 비판 성명을 냈다. 최근 정부가 의대 정원을 원래대로 되돌리겠다며 손을 내밀었지만, 의대생들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수업 거부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일부 강경파들은 복지부 장차관급 인사들이 ‘진심어린 사죄’를 하고, 이미 늘어난 의대 정원을 줄이기 위해 내년 정원을 더 줄여야 한다는 등 더 강경한 의사를 보이고 있다.
또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의료 현장 내 동료애 등을 언급하며 “(여러분은) ‘의사들만이 의료를 할 수 있다’는 오만한 태도로 이들(간호사, 보건 의료직 등)을 폄하하는 말을 서슴지 않는다”며 “솔직해져 보자. 응급실에서의 응급 처치, 정맥 주사 잡기 등의 술기를 응급구조사, 간호사들에게 배우지 않았느냐”고 언급했다.
이에 박 위원장은 응급처치 등을 간호사에 배우지 않고 스스로 익혔으며, 해당 업무는 교수들이 가르쳐야 할 업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교수의 본분을 다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성 없이 당당하게 이야기하니 당혹스럽기까지 하다”며 “전공의 교육 실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교수 평가제 도입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또 전공의 과로 실태를 언급하며 “대한민국 경제성장률이 1%대로 떨어졌으니 국가의 성장을 위해 근로기준법을 개정해 모든 근로자들이 주당 80시간, 140시간 일하게 하자 주장할 용의가 있느냐”며 “과로사로 사람이 죽어나가도, 임산부가 과로로 아이를 유산해도, 국민 건강을 위해 그 정도는 어쩔 수 없는 희생이라 하실 거냐”고 했다.
다만 박 위원장은 서울대 의대 병원 교수들이 짚은 ‘의료 시스템 개선을 위한 로드맵 제시 부재’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